매체보도, 기고 외

거북이는 왜 토끼와 내기를 했을까? : 결과가 아닌 과정이 나를 만든다.

한국글쓰기문학치료연구소 2025. 10. 31. 00:12

 

아주 오래전 언젠가 이런 기사를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도도히 버티던 안나푸르나 봉도 결국 인간 앞에 무릎을 꿇었다. 히말라야 정상 등반에 성공할 때마다 언론은 대대적인 보도를 합니다. 이때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이 바로 ‘정복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엄밀히 생각하면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루어낸 승리지, 자연과 싸워서 이기거나 정복해서 얻은 승리는 아닙니다. 그런데도 왜 우리는 승리를 내 밖의 어떤 적과의 싸움에서 이기는 것이라고 여길까요? 더군다나 자연은 우리와 싸우기 위해 그곳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데도 말입니다.

자연과 사람을 꼭 싸워 이겨야 하는 경쟁의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이 이기적인 가치관은 우리의 마음을 씁쓸하게 합니다. 이런 씁쓸한 표현 말고 이렇게 말해보면 어떨까요. 저 멀리서 우리를 기다리던, 너무 높고 험한 곳에 존재해서 만날 수 없었던 봉우리를 드디어 만나러갔다고요. 그 만남을 위해 모험을 했고, 드디어 자신과의 싸움에서 승리했다고 말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등정 과정에서 실패한 사람들, 때로는 목숨을 잃은 사람들은 모두 "정복"에 실패한 낙오자가 되고 말 것입니다. 마치 무슨 침략 전쟁같이 말입니다.  

 

하지만 그들도 모두 같은 승리자입니다. 그들 역시 ‘산이 거기 있어서’ 만나러 갔던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그 과정에서 최선을 다해 매 순간 살아 있었던 분들입니다. 이런 도전은 그 자체로 이미 승리입니다. 만일 우리의 행동을 모두 결과로만 판단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도 우리는 허무주의에 빠지게 되거나, 심하면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무슨 짓이라도 저지를지 모릅니다. 봉우리에 오르지 못하면 그동안의 내 모든 노력이 무의미해지기 때문입니다. 

저 높고 험한 산에 오르는 일이 결국엔 다시 내려오기 위함이듯 우리들의 모든 여행은 역설적이게도 결국 집으로 향하는 일입니다. 집으로 향하는 외출이 곧 여행입니다. 다만 집으로 다시 돌아온 우리는 예전의 내가 아닌 새로운 내가 되어 있습니다. 힘겨운 여정을 거쳐 오는 동안 우리는 한 걸음 더 ‘나’를 실현시키며 한층 성숙한 ‘나’와 만나기 때문입니다.

결과만으로 나의 여행, 나의 사랑, 나의 꿈과 모험이 허망했다고 말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내 삶의 어떤 과정도 무의미한 실패는 없습니다. 그러니 오늘도 성실하고 묵묵히 나를 도전하며 나의 길을 가고 싶습니다. 해안가의 수많은 모래알들 속에서 우리가 무엇을 찾아내든 그것은 결국 언제나 나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

같은 맥락에서

토끼는 낮잠을 자서 거북이에게 졌다. 이렇게 단순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토끼가 잠을 잔 이유는 승리가 너무나 뻔해서 성실하게 끝까지 뛰어가지 않은 것입니다.  승리가 뻔한 경주를 왜 했을까요? 이기는게 목적이니까요.  그런데 거북이는 왜 바보 같이 "결과"가 너무도 뻔한, 당연히 패배할 웃음거리가 되는 경주에 참여했을까요? 거북이는 토끼를 이기는게 목적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단지 스스로에게 도전한 것입니다. 이 기회를 통해 자신에게 도전한 것입니다. 토끼와 경주한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 경기를 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그는 "승리자"일 수 밖에 없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우화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요? 

 

-이봉희, [내 마음을 만지다]에서 발췌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