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글쓰기의 치유적 힘: 나의 목소리를 찾아 떠나는 여행

 


이 봉 희

미국공인문학치료전문가/공인저널치료전문가

나사렛대학교대학원 문학치료학과교수

한국글쓰기문학치료연구소 소장

 

 

 

내 안의 무엇 꽃이 되고파 온몸을 가득/ 이렇게 못질 해대는가..../불쑥 눈물이 솟는다. 나 아직 멀었다/

아직 멀었다. <김경미, “흉터”에서>


나는 창조한다, 울지 않기 위해서. <파울 클레>


왜냐하면 나도 목소리가 있으니까요. <영화, [킹즈 스피치] 중에서>


“왜 이렇게 갑자기 눈물이 나지요? 이상하네요. 왜 이러지?” 문학치료 모임에서 가장 자주 듣는 말이다. 조금 전까지도 아무 일도 없다는 듯 앉아있던 분들이 함께 시를 읽고, 글을 쓰고, 그리고 그 글을 읽다가 갑자기 울컥하여 눈물을 흘리시곤 한다. 때로는 다른 분의 글/이야기를 듣다가 갑자기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정말, 왜 이렇게 갑자기 눈물이 날까? 그것은 우리 내면 깊은 곳에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묻어둔 아무에게도 털어놓지 못한 이야기들이 숨어있기 때문이다. 들어달라고, 말하고 싶다고 호소하는 아픔과 상처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미국 시인 머어윈(Mirwin)은 말한다. “이 연필 속에 말들이 웅크리고 있다. 한 번도/ 쓰인 적 없는/ 말해진 적 없는 말들이/ 숨어 있다//...어떤 이야기기에 그들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것인가?” 헤르만 헤세도 고백한다. “내 참 자아에서 솟아나오려고 하는 것, 바로 그것을 나는 살아보려고 했다. 그것이 왜 그토록 어려웠을까?” 그런가 하면 “마흔 살이 되자/나의 입은 문득 사라졌다/ 어쩌면 좋담”(천양희 “너무 많은 입” 중에서)이라고 한탄하는 시인도 있다.

문학치료는 우리 속에 억압되고 숨어있는 이런 모든 이야기들에게 목소리를 찾아줌으로써 아픔을 치료하기도 하고, 문제를 해결하게 도우며, 우리를 성장시킨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고통의 감정과 함께 억압되었던 자발성과 창의력을 되찾아주고 자존감을 회복시켜준다. 자존감이란 있는 그대로의 내 감정과 모습이 나의 일부이며 나의 독특함임을 받아드리고 인정해주는데서 출발한다. 문학치료는 글쓰기를 통해 고통과 함께 억압되었던 참자아를 만나게 해주기도 한다. 우리의 참자아 속에는 내면의 지혜가 있다. 문학치료는 이미 우리 속에 있었으나 언어를 찾지 못해 잠들어 있었던 창의력과 자발성 그리고 나아가 우리 속에 내재된 치유의 힘인 탄성/회복력을 찾아주는 것이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 문학치료는 참여자와 치료사(촉진자)와의 사이의 치료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문학과 글쓰기를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의도적이란 “치료와 성장 그리고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문학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문학작품 특히 시는 그것을 읽는 사람의 내면에서 연상작용을 일으키고 의식적 무의식적 기억과 생각을 떠올려 이끌어내는 강렬한 힘이 있다. 또한 글쓰기, 특히 저널(일기)쓰기 같은 감정표현 글쓰기의 정신적/육체적인 치료적 힘은 저널치료사들 뿐 아니라 페니베이커를 비롯한 많은 심리학자와 의학계에서도 수많은 연구를 통해 계속 과학적으로 입증되어오고 있다. 문학치료사는 그 그룹의 참여자들에게 맞는 신중하게 선택한 문학작품이나 시를 “매개”로 참여자와의 감정적 반응과 대화를 이끌어내고 억압된 스트레스와 감정에너지들을 안전하게 해방시킬 뿐 아니라 객관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새로운 성찰을 얻고 참여자 스스로 길을 찾아가도록 가이드 해준다. 이때 문학은 교실에서처럼 예술적 가치나 의미가 중요하지 않고 참여자의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촉매로서의 역할을 한다.  치료를 위한 문학은 나와 같은 아픔을 경험한 사람과 공감하고 위로받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너머로 우리를 이끌어줄 수 있어야 한다. 마치 시인 가이 존슨이 말한 것처럼 문학은 내가 어떤 외로운 거리에 서 있든 누군가가 이미 그곳을 지나갔고 그리고 “살아남았다는 것을” 알게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엘리 위젤은 신은 이야기를 사랑하셔서 인간을 창조하셨다고 말한다. 사람들의 가슴에는 이야기가 가득 차 있다. 그리고 그 이야기들은 목소리를 가지고 표현되고 싶어 한다. 우리 모두에게는 사람들과 소통하고 접촉하려는 지독한 욕구가 있으며 그 절실한 필요를 알아 줄 누군가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마음이 상처를 입어 갈라져 있으면 소리를 낼 수가 없다. “아, 다시 봄이라는데/ 갈라진 마음은 언청이라서/ 휘파람을 불 수 없다.”<황인숙, “사랑의 구개” 중에서>라고 말한 시구절처럼 말이다. 이제 갈라진 마음을 치유해주어야 한다.  이제는 당신도 아프다고 말해도 좋다.  내 마음 속 참자아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아라.  그 이야기들에 목소리를 주어라.  

“깨어나십시오, 당신의 영혼을 저 광활한 들판으로 이끌어 숨을 쉬게 해주십시오.”(하피즈) 

 

(c)2013LeeBonghee(현대자동차매거진 원고)
      (
저작권이 있으므로 일부 혹은 전부를 정확한 출처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음)

--------------------- 

 

 

원고를 보내고 보니.... 차라리 그냥 무미건조하게 문학치료를 소개하는 글이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원고청탁의 의도를 내가 좀 벗어난 거 같다.  나의 문제는....늘 감성에 호소하려는 데 있는 것은 아닐까?  내 글을 읽으면서 문학의 감동적인 힘을 느끼게 해주고 싶어하고....(말로만 문학은 감동을 통해 치유한다고 말하는 게 아니라 그걸 체험하게 해주고 싶어하고) 그리고... 강의(문학강의)도 그렇게 하고 싶어하는 건 아닐까?   감동.... 그게 얼마나 가능할까?  사람들은 원하지도 않는 것 아닐까?  그냥 정보를 원하는 건 아닐까? 내가 잘못된 것일까? 그래서 학생들이 불편한가?  학생들은 내 강의가 어렵단다.  정보를 주면 외워서 시험보면 되는데 자꾸 지식을 느끼라고 하니까... 어제도 단편소설을  강의하는데 어려워 한다.  이제 주말까지 주어야 하는 또 하나의 원고는 어떻게 써야하나.  내일은 하루종일 워크숍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