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치료'에 해당되는 글 9건

(c)이봉희2007- 새국어교육 2007

 

저널치료: 새로운 일기쓰기

 

李 奉 姬*

 

 

 

<차례>

 

1. 서론

2. 저널치료란 무엇인가

3. 효과적인 저널쓰기를 위한 제안

4. 저널도구와 치료사례들

5. 문학과 저널치료의 만남

6. 결론

 

 

<국문초록>

 

독자나 평가자를 염두에 둔 좋은 글을 쓰는 것과 별도로 저널(일기)처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감정표현 글쓰기의 중요성은 그것이 정서적, 정신적 문제를 치료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국어교육의 문외한인 필자의 본 논문은 상한 감정의 치유와 문제해결, 자아성찰을 위한 자신만의 사적인 글쓰기인 저널(journal)이란 무엇인가를 알리고 그 치료적 효능과 글쓰기기법을 몇 가지 구체적 사례들과 함께 소개함으로써 저널이 한국의 글쓰기교육과 인성교육에 미력하나마 하나의 도전이 되고자 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주제어: 저널치료, 일기(다이어리), [보내지 않는 편지]쓰기, 감정표현 글쓰기, 문학치료

 

 

1. 서론

 

인간은 누구나 자기표현 욕구를 가지고 있다. 글쓰기는 그림그리기와 동작(무용) 같은 다른 표현예술처럼 본능적 자기완성의 활동이며 자신만의 즐거움과 자아표현을 위한 행위이다. 글쓰기를 위한 교육은 국어교육에서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굳이 대학입시를 위한 논술 교육이 아니라 해도 어려서부터의 글쓰기 교육은 좋은 글을 쓰기 위한 교육이다. 글쓰기교육의 목표를 좋은 글을 만들어 내는데 있다고 한다면 좋은 글이란 글쓴이의 감정과 느낌, 생각이나 사고 등을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잘 전달한 글이다”(김경훤, 7). 이 말은 모든 글은 독자를 염두에 두고 쓰게 된다는 말과 다름없다. 글쓰기(글짓기)쓴 사람과 그것을 읽어 줄 사람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이뤄지는 것이 사실이다”(이오덕, 19). 따라서 성인들은 물론이고 어린 학생들도 글을 쓸 때는 글씨, 어법, 문장의 오류 등을 검열하는 내적, 외적 검열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사적이고 솔직한 감정은 일상생활에서와 마찬가지로 글쓰기에서도 통제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일기쓰기는 어떨까? 아마 사적인 감정을 가장 자유롭고 솔직히 털어놓을 수 있는 감정표현 글쓰기(expressive writing)는 일기쓰기일 것이다. 하지만 아무도 보지 않는 일기에서조차 글을 쓰는 사람은 가상의 독자를 의식하게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글을 쓰는 자신이 스스로 독자가 된다. 특히 어려서부터 일기를 숙제로 제출하고 검사를 받는 데 익숙한 학생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일기에서 조차 마음껏 솔직하게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털어놓지 못한다. 학생 뿐 아니라 직장인들을 위한 글쓰기 전문서적과 지침서들이 범람하는 요즈음, 필자가 독자나 평가자를 염두에 둔 좋은 글을 쓰는 것과 별도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감정표현 글쓰기의 중요성을 새삼스럽게 강조하려는 것은 그것이 정서적, 정신적 문제를 치료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감정표현과 반성적 글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글쓰기인 저널이 치료적 힘을 갖는 것은 우선 글쓰기가 해결되지 못한 채 저장된 감정의 처리 과정이기 때문이다. 특히 자신의 생각에 대해 명료하게 밝히는 저널쓰기는 장기간 지속되는 심한 정신적 충격을 치료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사람들이 겪는 문제 중 일부는 감정과 생각을 정리하고 처리하지 않은 채 어딘가에 저장해 두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해내듯 모든 생각과 감정을 글로 털어 놓으면회복의 길로 들어설 수 있으며 모든 감정을 털어놓으며 정리하는 과정과 함께 한 걸음 뒤로 물러서서 전체 상황을 되돌아보고 생각하는 성찰 과정이 병행되어야 한다.

감정표현글쓰기와 그 치료효과에 관해서 어느 나라보다 가장 먼저 그리고 전문적으로 연구되고 보급, 응용되고 있는 곳이 미국이다. 1920년대부터 시(문학)치료를 연구하여 문학의 실용적 가치와 문학에 내재된 치료로서의 힘을 다시 부활시켜 수용자/독자에게 돌려준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는 일기(diary)쓰기를 저널(journal)이라는 글쓰기치료법으로 개발하여 문학치료의 일부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T. 라이너의 경우는 저널이라는 말 대신 새로운 일기(New Diary)’라는 용어로 기존의 일기(다이어리)와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일기쓰기를 구분하고 있기도 하다.

본 눈문에서는 저널치료의 정의, 역사와 효용을 간단히 알아보고 현재 미국에서 저널치료의 선구자요 가장 대중적인 호응을 얻고 있는 저널치료의 권위자이며 동시에 공인 문학치료사인 캐슬린 애덤스의 저널치료기법에 주로 근거하여 효과적인 저널쓰기를 위한 8가지 제안을 제시한다. 또한 구체적 글쓰기 기법인 저널도구는 어떤 것인지 간단히 알아보고, 대표적 저널도구인 [보내지 않는 편지]를 통한 저널치료의 사례와 문학을 매개로 하여 문학치료에 글쓰기를 적극 도입한 경우의 사례를 간략히 소개함으로 저널쓰기의 적용과 치료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갈수록 심해지는 경쟁과 성과위주의 교육환경 속에서 감정적 억압과 과다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정신적 육체적 건강을 잃어가는 학생들을 위해, 점점 확산하고 있는 학교폭력의 해결과 예방을 위해, 그리고 더 나아가 건강한 사회를 이루는 근간이 되는 인성교육을 위해, 글쓰기교육과 학생상담 등에 저널치료가 유용하게 활용되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성화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중략 -

 

<Abstract>

 

Journal Therapy: an alternative way of writing education in a task-oriented environment

 

Bong-hee Lee

Korea Nazarene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the task-oriented country like Korea is mainly focused on how to write "good and well organized" paragraphs with no awkward or unclear expressions. However,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importance of expressive writing, especially on the journal as a new challenge to writing education because of its therapeutic effect. It is high time that we accepted this challenge for holistic general education to our younger generation when the violence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s, suicidal tendencies, depression are more and more widely spread among young students. The therapeutic effect of expressive emotions writing is proven by The Freedom Writers Diary(1999), a real story of a high school teacher, who has changed her students' lives through their journals.

Journal Therapy is the act of writing down thoughts and feelings to sort through problems and come to deeper understandings of oneself or the issues in one's life. Unlike traditional diary writing, where daily events and happenings are recorded from an exterior point of view, journal therapy focuses on the writer's internal experiences, reactions, and perceptions. Through this act writing and literally "reading" of his or her own mind, the journal writer can perceive experiences more clearly and thus feels a relief from tension. Moreover, there is scientific evidence that the relief that comes from writing things down is more than just psychological. Dr. Pennebaker's studies indicate that the release offered by writing has a direct impact on the body's capacity to withstand stress and fight off infection and disease.

This paper surveys the development and the benefits of journal therapy. It also summarizes suggestions for satisfying journal writing and K. Adams' "journal tools"(writing techniques) offered as a way to match a specific life issue with a specific writing device. It finally chooses some of the journal techniques as specific examples to heal the relationship problems with testimonies of the therapeutic process in some of the members of the writer's Journal/Poetry Therapy Group and in the Literature class.

 

 

이봉희: bhlee@kornu.ac.kr /journaltherapy@hanmail.net

http://journaltherapy.org

나사렛대학교 영어학과 교수(대학원 문학치료학과 주임교수)

미국공인문학치료전문가, 공인저널치료전문가

 

 

 

( 그림에 있는 아이가 입었던 옷과 내가 즐겨입었던 티셔츠)

 

 

 

엄마, 어느새 또 5월 8일이 돌아왔어요. 매년 5월 8일만 잘해드리는 것 같아서 죄송해요. 하지만 엄마, 제가 엄마 사랑하는 거 아시죠? 매년 그래왔던 것처럼 이번에도 “시”를 준비했어요.

엄마. 가만히 오른 손으로 왼손을 쥐어보세요. 전 혼자 있을 때 그렇게 해요. 꼭 엄마의 손이 제 손을 굳게 잡고 있는 듯해요.

눈을 떠 보았습니다
칠흙 같은 어둠의 늪 속에서
홀로 허우적거리는 저를 보았습니다.

어둠과 하나가 되어가는 절망을 느끼며
두려움에 나의 두 눈을
꼭 감았습니다.
“아, 이제는 끝이로구나”

다시 눈을 떴을 때
어둠의 늪을 지나 환한 빛을 향해
당당히 걷고 있는 저를 보았습니다

빛에 도달했을 때
저는 비로소 느꼈습니다.
제 뒤에 있던 당신을.

당신을 느끼기 위해
눈을 살며시 감아보았습니다
저를 붙들어 주었던
당신의 손길이 느껴졌습니다.

당신의 눈물로
제 마음에 파문을 일으키신
당신은 저의 분수십니다.

당신은 제 호수의
분수대이십니다.

은빛 실을 내어
저에게 새로운 삶을 입히시는
당신은 저의 분수대이십니다.

------------------------------------------


나의 사랑하는 딸아이가 어릴 때 어머니날 카드에 쓴 시.
엄마가 학교에서 늦게 돌아오는 날이면 빈 집에서 얼마나 힘들고 외로웠을지....그래서 엄마 손 대신 자신의 손으로 다른 편 손을 잡아주며 엄마를 느껴보던 아이....

 

다 지난 까마득한 옛일인데 아직도 미안하고 가슴이 아프다. 그래서 딸이 내게 보낸 수 많은 카드들 중 어머니날이면 잊지않고 다시 꺼내보는 카드 중 하나가 이 편지(시)이다.

 

딸아이는 어려서부터 피아노 학원들 다녀오거나, 유치원에서 집에 오는 길에 길가에 핀 작은 꽃이나 작은 돌, 또는 예쁜 작은 카드를 만들어 "써프라이즈!!!" 라고 말하며 고사리 같은 손으로 내게 자랑스럽게 건네곤 했었다.

 

우리는 늘 서로에게 쪽지나 카드를 써주곤 했었지. 지금도 일년에 한 번 만났다 헤어질 때는 어딘가에 편지나 카드를 써서 서로에게 남기곤 한다. 언젠가 아이가 정말 힘들어 할때 내가 그냥 포스트 잇에 세상에서 네가 가장 예쁘고 아름답다고 적어 컴퓨터 모니터 앞에 붙어주었는데 일년 후 가 보니 그 낡은 포스트 잇을 그대로 붙여두고 있었다. 딸애가 유학을 떠나던 날 현관문에 붙여놓고 간 쪽지가 아직도 그곳에 붙어 있듯이.
우리에겐 정말 소중한 추억이 많다. 감사하게도.

 


엄마의 딸에게 보내는 글.

나의 생명, 나의 딸,
이젠 엄마보다 훌쩍 커버려서 한참 올려다 봐야 하는 우리 딸. 그래도 엄마는 지금도 늘 네 손을 잡듯이 나의 두 손을 모으고 널 위해 기도한단다. 잊지마,  우리에겐 우리의 손을 절대 놓지 않으시고 꼭 잡고 함께 가시는 주님이 계심을.

Do you remember all the pretty letters you gave to me from time to time?
Do you remember you used to prepare a "surprise" for me? -- a little nameless flower, a little card.... anything that said "I love you, Mom"

I knew those little gifts were not just saying"I love you, Mom".  I knew they were telling me that "I needed You.  I missed Mom  all day long."  and that you were  alone and lonely.

I AM sorry, Dearest.   I've never been much of a mother, I know.  However, YOU have been always with me as part of my life.

This is one of your letters you gave me when you were so little!
I miss you so much!

080508

Herald Media

헤럴드 경제 >> 생생뉴스 >> 세상사는 이야기
2008.07.23 (수)

고달픈 심신 치료법 ‘저널테라피’ 를 아시나요

일요일 낮 서울 청량리 한 교회의 세미나실에 열 명 남짓한 사람이 모여앉았다. 이들 앞엔 색연필, 도화지, 일기장이 놓여 있다. ‘저널테라피’를 체험하고 배우려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이들은 마음에 드는 색깔의 색연필을 골라 도화지에 아무렇게나 그림을 그린다. 형상을 그리는 게 아니라 그저 낙서다. 그다음 치료사가 낙서에서 떠오르는 형상을 찾아내라고 한다. 어떤 이는 꽃, 어떤 이는 사람의 얼굴을 찾아냈다. 이 낙서에 대해 각자 스스로 감상문을 쓴다. 참석 경험이 적다는 한 참가자가 당황하자 치료사가 “생각을 하려 하지 말고 펜 가는 대로 순식간에 써내려 가라”고 주문한다.

그리고는 그 감상문에 대한 감상문을 또 쓰게 했다. 자신의 감정이 투영된 글을 직접 읽고 분석하면서 스스로 문제점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그런 속에서 때론 웃음, 때론 울음이 쏟아졌다. 논리나 이치에 맞는 글은 아니지만 감정을 충실히 담아낸 글이다. 글 쓴 당사자는 자기 글을 읽어보며 조금씩 내용도 감정도 변하는 걸 경험한다. 부치지 않고 쓰기만 한 편지 한 장, 감정 흐르는 대로 쓴 일기 한 토막이 놀라운 일을 해내는 것이다.

글쓰기를 이용해 심신의 병을 치유하는 ‘저널테라피(Journal Therapy)’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2000년께 국내 의과대학 등에서 도입됐지만 잠잠하다 최근 관련 학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보급, 응용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에서도 최근 ‘의사문학제’란 이름으로 이와 연관된 행사를 진행했다.

저널테라피는 일종의 문학치료다. 마음속이 복잡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일기를 쓰거나 낙서를 하면 마음이 진정되던 경험을 누구나 한두 번쯤 갖고 있게 마련이다. 저널테라피는 그런 원리에 착안해 지난 60년대 미국에서 자기계발과 자가치료의 한 방법으로 등장했다. 정신과 상담이 보편화된 미국이지만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아 스스로 치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국내에는 2000년대 들어서야 뒤늦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시, 소설 등 문학작품을 매개로 자주 사용하는 까닭에 문학치료의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

미국 공인 문학/ 저널치료 전문가인 이봉희 나사렛대 교수(한국글쓰기.문학치료연구소 소장)는 “저널테라피는 의학적.임상적으로 검증된 기법으로서 미해결된 심리적 상처와 고통을 해결받을 뿐 아니라, 이를 익혀 습관화하면 일생 동안 여러 작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의학계에 보고된 저널테라피의 효과는 몸과 마음의 병을 아우른다. 영양주사로 연명하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경우 앓던 우울증이 호전됐고, 류머티즘과 천식환자들의 질병 심각도가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의학전문지 자마(JAMA)에 소개된 바 있다.

이봉희 교수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사례가 많다. 미혼 여성 안모(47) 씨는 27년간 어머니와 심각한 갈등을 겪으며 살았다. 어머니의 뜻을 거스르고 싶은 심보로 결혼도 하지 않고 머리도 자르지 않았다. 직장에서도 어느 한 곳에 안주하지 못하고 자주 옮겨 다녔다. 그런 중 ‘저널테라피’를 받으면서 어머니와의 관계를 회복했다. 뿐만 아니다. 어두웠던 안색도 밝아지고 그간 겪던 탈모 증세도 사라졌다. 심지어 이마 주름도 거짓말처럼 사라졌다. 1년 뒤엔 아토피 피부염도 사라졌다.

30대 여성 직장인 김모 씨는 직장상사의 강압적이고 일방적.비협조적인 처사 때문에 두 달이 넘도록 감정을 주체할 수 없어 고통을 받았다. 하지만 저널테라피를 받으면서 직장상사와의 감정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사랑받지 못하고 인정받지 못한 상처가 있었다는 사실도 깨달을 수 있었다. 이 교수는 이 밖에도 국내에서 탈모, 변비 증상이 개선되거나 금연, 금주에 성공하는 등 다양한 치유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저널테라피는 애초에 자가치료로 개발된 만큼 누구나 혼자서 할 수 있다. 남을 의식하지 말고, 날짜를 기록하며 쓰는 것이 규칙 정도다. 하지만 일기조차 남을 의식하고 써온 사람들에게는 이조차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이런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 것도 현실이다. 이때 관련 자습서적이나 저널테라피 전문가들이 도움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의뢰인이나 내담자들이 마음속 감정을 편안하게 글로 풀어내고 그 글을 통해 자신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스스로 발견하고 해답을 찾을 때까지 여러 문학작품, 특히 시를 사용하여 글쓰기 주제를 던져주거나 가장 효과적인 저널기법 등을 조언해준다.  일기, 시나 소설 등 문학작품에 대한 지극히 사적인 반응을 글로 쓰고, 자신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대상을 향한 보내지 않는 편지, 혹은 대화기법 저널, 목록, 순간포착, 등 글쓰기 형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바뀐다.

그렇다고 저널테라피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병을 앓고 있지 않은 일반인이 대상이며, 전문적인 의학치료의 보조수단일 뿐이다. 예컨대 저널테라피가 혈압을 낮춘 사례는 보고되고 있지만 고혈압 환자가 꾸준한 관리와 약 복용 없이 저널테라피만으로 혈압을 낮출 생각을 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다. 심각한 우울증이 있다면 저널테라피를 먼저 시도할 게 아니라 정신과 상담이 우선이다.

이 교수는 “미국에서는 저널테라피 등 문학치료가 일반인 뿐 아니라 정신과 환자와 약물중독자, 교도소 수감자 등에게 폭넓고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며 “국내에서는 경쟁과 성과 위주 교육에 시달리는 학생이나 직장인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용직 기자(yjc@heraldm.com)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8/07/23/200807230085.asp

글쓰기를 통한 마음의 치유...신간 '글쓰기치료'
2007년 02월 03일 (토) 10:10:17 코리아뉴스 webmaster@ikoreanews.com
"심리적 외상과 감정의 격변에서 회복되기 위한 감정표현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사랑하는 사람의 예견했던 죽음이나, 이미 피할 수 없는 이혼이나, 미래에 벌어질 것이 확실히 눈앞에 보이는 어떤 문제에 대해서 글을 쓴다면 도움이 될 수 있을까? 물론이다. 글쓰기는 무료 치료사이다. 글을 쓰면서 당신이 왜 지금과 같은 감정을 가지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런 감정들이 당신의 삶의 다른 사건들에 어떻게 연관되었는지 스스로 탐색할 수 있다.

상처 입고 고통 받은 경험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그저 종이에 옮겨 적는 것만으로도 정신적, 육체적인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미국에서 가장 인정받는 심리학자 중 한 사람인 페니베이커의『글쓰기치료』는 지금 그 자리에서 바로 연습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강력하게 준비되어 있는 글쓰기치료 워크북이다. 각 글쓰기 연습은 세상의 가치에 대한 보다 선명하고 확고한 감각을 일깨워 줄 것이며, 비록 힘들고 절망적일 때조차 삶은 여전히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길러 준다.


글쓰기 치료에 대해..

고통의 경험은 그 자체보다도 그것을 억압하고, 깊은 무의식의 세계 속에 비밀로 간직하는 스트레스와 부담이 더 문제가 되어 정신적 부적응성, 질병뿐 아니라 천식, 관절염 등 여러 육체적 질병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그 고통스러운 체험이나 말 못할 상처와 비밀들을 어떤 형태로든 표현할 때, 예를 들면 일기를 쓴다든지 친구나 남편, 아내, 또는 부모에게 털어놓거나 목사나 신부를 통한 종교적 고백으로 아니면 가상의 소설로 써서라도 분출할 때, 심리적 외상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일으키는 정신적 질병뿐 아니라 육체적 질병의 치유에도 현저한 효과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문학을 엑소시즘이라고 말하는 것도 다 같은 맥락일 것이다.

페이베이커 교수는 20년간에 걸친 연구를 통해 그 어떤 털어놓기나 표현보다 언어를 통한 글쓰기가 정신적 건강뿐 아니라 면역체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책은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인들이 스스로 자신의 감적적인 격변과 고통스러운 심리적 외상의 경험을 해결하도록 돕기 위해 만든 책이다. 그뿐 아니라 표현적 글쓰기는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개발시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

만일 당신이 현재 어떤 종류의 심리적 외상이나 감정의 격심한 변화를 겪고 있다면 당신은 이 책을 열면서 용기 있는 한 걸음을 내디딘 것이다. 어쩌면 당신은 계속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문제해결방법을 찾고 있는 중이었는지 모른다. 어쩌면 당신은 심리적 외상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회피하고 아무 일도 없는 듯 외면하고 싶은 유혹에 빠질 수도 있다. 당신의 가장 친한 친구들 중에도 당신이 그렇게 하기를 원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당신은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거대한 감정의 격변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이 워크북은 심리적 외상이나 감정의 격변, 트라우마를 견디며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심리적 외상의 복잡성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우리 삶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것은 오래된 과거에 발생되었던 일이었거나 아니면 바로 지금 겪고 있는 일일 수도 있다. 어쩌면 그것은 단 하나의 사건일 수도 있고, 장기간의 만성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당신은 아마도 그 일에 대해 지나치게 생각하고, 걱정하고, 심지어 꿈에서까지 시달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표현적 글쓰기 방식들은 당신이 느끼고 있는 갈등, 스트레스, 혹은 고통을 벗어나도록 도와줄 것이다.

워크북 안에다 글을 쓰도록 만들어졌지만, 꼭 책 안에다 글을 쓸 필요는 없다. 어떤 이들은 컴퓨터에 직접 쓰는 것을 더 좋아한다. 당신이 워크북 안에다 글을 쓰든 쓰지 않든 글쓰기의 가치에는 차이가 없다. 그 가치는 직접 글을 쓰는가에 달려 있을 뿐이다. 또한 이 책은 글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준다. 이른 아침, 점심시간, 잠자기 전 등 글을 쓰는 시간에 대한 취향부터, 소설, 시, 춤, 미술 등을 활용한 창의적인 글쓰기 방법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얼마나 자주, 무엇을 써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답을 준다.

날마다 일기 쓰기가 좋은 생각인가 아닌가에 대한 물음에 저자는 사람들이 매일 글을 쓰는 습관에 빠지면 중요한 심리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투자하는 시간이 점점 줄어들 수도 있다고 말한다. 일기쓰기는 ‘필요할 때 쓰기’의 원칙을 따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당신의 삶이 순조롭거나, 당신이 행복하고 과거의 무엇인가에 얽매어 있지 않다면 자신을 지나치게 분석할 필요는 없다. 지난 일을 버리고 자신에게 다가오는 인생을 맞아 즐겨라. 그리고 고통이 다시 찾아온 그 순간 고통을 처리하기 위해 글쓰기를 시작하라.

글쓰기치료
Writing to Heal : A Guided Journal for Recovering from Trauma & Emotional Upheaval
James W. Pennebaker 저 | 이봉희 역 | 332면 | 크라운판 | 반양장
2007-01-10| 13,000원 | ISBN 978-89-5891-379-5 93180

글쓰기/문학치료 (2007 여름) 워크샵 후기

1. 저널치료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게 된 점.


학회에서도 글쓰기 치료라는 이름으로 분과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고 곳곳에서 글쓰기 치료라는 이름으로 이야기를 하지만 이번 기회에 저널이 무엇인지 저널쓰기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게 되었다. 저널은 일기와 같다고 하신 교수님의 말씀에 공감하면서 그냥 [저널치료](학지사) 책을 봤을 때 가졌던 저널에 대한 생각이 직접 국내에서 유일한 "공인저널치료사"인 교수님의 가이드를 따라 방법을 경험하고 나니 몸으로 체득된다. 그냥 책을 봤을 때는 저널쓰기가 어차피 글쓰기 구나 생각하면서 글을 쓸라면 이런 방법들이 있구나라고 방법적인 면만 생각했었다. 그러나 직접 경험해 보니 저널쓰기의 여러 방법이 단지 도구일 뿐 진짜 중요한건 어떻게 진실되게 지금, 현재의 마음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직접 경험해보는 거랑 책만 읽은 것은 큰 차이가 있었다. 저널쓰기 방법을 활용하고 싶은 사람은 꼭 [저널치료] 전문가의 지도를 경험해보고 활용하기를 권하고 싶다.


2. 상담이 아니라고 하셨지만 문학적으로 표현된 심리학 용어들


처음 만남에서 교수님은 자신은 심리학자가 아니고 심리치료를 하는 것도 아니라고 하셨다. 그러나 워크샵을 들으면서 교수임이 표현하시는 용어는 문학적으로 달리 표현된 깊이 있는 심리학적 용어들이었다.(그렇다고 내가 심리학에 일가견이 있는 전문가는 아니다) 그것은 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경험과 연륜을 가진 사람만이 이야기 할 수 있는 깊이의 언어들이었다. 그래서일까 왠지 상담이나 심리치료라고 하면 거부감을 먼저 느끼는 우리네 정서에 비추어 볼 때 저널쓰기는 부담이 없으면서 자연스럽게 자신을 치료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교수님은 끝까지 심리나 상담치료는 아니라고 하셨지만). 그것은 문학치료라는 다학문적인 상담치료를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부담없이 첫 걸음을 딛게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3. 다양한 매체 활용의 놀라움 (문학치료와 글쓰기치료의 접목)


단순한 글쓰기치료가 아니라 무엇보다  교수님이 사용하시는 독특한 방법인 문학치료와 글쓰기치료가 접목된 방법과 다양한 형식의 텍스트를 가진 문학적 매체들이 놀랍다. 그림, 영화, 시, 글, 등 자료의 방대함과 그 자료를 구하기 위해 그동안 준비하셨을 교수님도 존경스럽다. 때로 독서치료를 진행을 하다보면 몇 가지 힘든 점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내담자들이 책을 읽을 시간이 없거나 책읽기를 별로 안 좋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널쓰기에서 사용하는 영화의 한 부분, 그림, 책의 한 문구, 시들은 매우 공감되면서도 자료를 처음부터 모두 봐야한다는 부담감을 갖지 않게 하여 좋았다. 독서자료를 활용 할 때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을 배운 기회가 되었다. 또한 다양한 글쓰기 방법들도 재밌다. 방법이 새로운 건 아니지만 그것들이 저널쓰기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접목되는지를 알게 되었고 글로만 쓰는 것이 아니라 그림이나 마인드 맵 등 자신이 쓴다는 것은 심각하게 느끼지 않도록 하는 쉬운 방법들이 글쓰기에 응용되어서 좋다.  



4. 글쓰기에 대한 생각이 바뀜


워크샵시간에도 말 한 적이 있는 데 나는 오래전에 일기 쓰는 것을 그만 둔 적이 있다. 왠지 글쓰기가 가지고 있던 무게감이 나를 진정으로 쓰지 못 하게 만든 것 같다. 글은 자기 마음을 무의식적으로 나타내는 거라고 하지만 나의 글쓰기는 무의식을 의식의 검열로 검열하여 쓴 것 같았다. 정말 글을 아무 생각 없이 한번 쓸 때 끊지 않고 다시 읽어보지도 않고 써 보는 것, 그것은 아직도 얄팍한 의식의 끝을 잡고 나의 글을 검열하는 나에게 처음에는힘든 일이었지만 글쓰기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써 보고 나중에 다시 의식적으로 다시 읽어본 후에 써보는 후기 또한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진정한 저널 쓰기 방법이 잘 알려져서 글을 쓴다고 하면 거부감과 부담감이 먼저 드는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도구로써 글쓰기를 애용하기를 바란다. 진정 부담 없는 무의식의 표현이 저널쓰기이다. 


 

저널치료를 접하고 나서 나의 변화


이 글을 쓰기 위해 저널치료 숙제로 낸 나의 글을 다시 꺼내 읽어보았다. 다시 읽어보니 새롭다. 어떤 글은 내가 왜 그 때 그런 생각을 했었는지 생각이 안 나는 것도 있고 변하지 않는 생각도 있다. 자기가 썼던 글을 다시 읽어보고 후기를 쓰는 것은 후기에 후기를 계속 써서 끝이 없을 것 같다. 나의 시간에 따른 생각의 변화도 알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아빠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는 생각을 항상 머릿속에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일부러 아빠에 대해 글을 썼었다. 되도록 솔직하게 쓸려고 했다. 한번 썼다고 해서 그 감정이 다  라진 것은 아니지만 한번 써 보자 머릿속에서 맴돌던 묵직한 무게감이 좀 준 것 같다. 뭐랄까? 계속 나의 화두인 것처럼 따라다니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할 첫 발을 내딛었다고나 할까?


아빠에 대한 이야기는 계속 써 봐야 할 것 같다. 그러면서 나의 무의식이 어찌 변해가는지도 찬찬히 살펴봐야겠다. 단지 지금은 책상에 앉아 컴퓨터에 앉아 무언가를 하엔 불편한 몸이 되어서 나중에 몸이 좀 편해지면 시작해야겠다. 이제 글쓰기에 대한 부담이 줄었으니 몸이 가벼워지다면 더욱 쉽게 시작할 것이다.  막연히 언젠가 해야지 하던 것이 아닌 진짜로 할 수 있는, 해야 하는, 하고 싶은 작업이 된 것이다.  
 
--------
PS. 문학치료와 저널치료에 대한 나의 생각

뭐든 경험을 하고 나면 바로 후기를 쓰는 것이 가장 신선하고 새롭다. 시간이 좀 지났고 또한 출산이라는 인생의 아주 중요한 일을 앞두고 있는 나는 온통 신경이 그 쪽에 가 있는 관계로 그 때 느꼈던 신선함을 다 전달하지 못 할까 생각이 든다. 그래도 기억을 되살려 저널치료에 대한 내 생각을 간단히 써 보았다.

*이 글은 집중 문학/저널치료 워크샵 (4일 8회, 2007년 7월)에 참석했던 한 참여자(청소년상담사 BS선생님)가 보내주신 글입니다. 고맙습니다.

[해외 건강토픽]천식-관절염 치료에 글쓰기 큰도움

스트레스를 받을 때 드는 생각이나 느낌을 글로 쓰면 건강이 좋아진다
는 연구결과가 "미국의학회지" 4월호에 실렸다.

미국 노스다코다주립대 심리학과 죠수아 스미스박사(연구당시 뉴욕주립
대교수)는 천식환자 70명과 관절염환자 56명을 대상으로 느낌이나 생각을
글로 적도록 한 결과 환자의 50%에서 상태가 좋아졌으며 매일 하루 스케
줄을 적도록 한 경우 24%에서 상태가 호전됐다고 발표.

스미스박사는 "천식환자는 2주 뒤부터 건강이 좋아졌으며 관절염 환자
의 경우 4개월 뒤 약간 좋아졌지만 그 이유는 알 수 없다"고 밝혔다. 그
는 "누구나 글을 쓰면 심장박동수를 줄고 혈압이 내려가며 면역기능이
강화된다는 다른 연구결과도 있다"고 소개.


from medcity.com 1999-04-28

---
페니베이커의 연구에서도 글쓰기가 천식과 관절염 치료에 가장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문학치료모임에서는  아토피 피부염과 여드름,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증상, 불면증, 숨쉬기가 답답한 경우, 심지어 얼굴의 주름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었다. 아직은 소규모 모임에서 나온 개별적인 사례이며 대규모 실험을 통해 나타난 통계자료가 아니어서 발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많이 보고 되는 변화는 역시 관계의 치료, 분노치료, 자존감 회복이었으며 자아발견, 창의적 자아 발견이었다.

 공개 된 카페에서 가져온 글입니다.

<이봉희 교수님의 글쓰기 치료에 대한 감상문>


지난 주 월요일로 시간을 되돌려 놓았다.

자아야, 이상하다! 우애령 작가님은 얼굴이 좀 크던데, 얼굴 성형 수술했나?

얼굴이 완전 다르다.  이봉희 교수님인가?  “글쎄나도 모르겠는데. 이봉희 교수님을

본 적이 없으니... ” “ 에라 모르겠다.  아니면 어떻고. 기면 어떠니. 뭐라고 하시겠지.”

“ 그래, 들어봐. ”


교수면 나이가 오십은 넘었을 것 같은 데 사십 오 육 세 정도는 되었겠다

싶으신 고운 외모에 목소리는 작고, 말은 왜 그리 빠른지요?

교수님의 프로필을 이야기 하시며,“ 아휴, 안할 수도 없고, 그냥 할게요.” 뭔가 쑥스러워하시는 모습이 우리를 웃게 하셨다.


교수님 알고 있는 것을 짧은 시간에 많이 먹여주고 갈려니, 맘이 급하다고 했다.

“자아야, 나 자꾸 교수님의 이야기에 빨려 들어간다. 소녀같네. 옛날에는 수줍음도 많아겠다. 그지?”

학생들의 글을 평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아준다는 말씀.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고, 나만이 아는 글, 보내지 않는 편지,

“이거 맘에 들지않니?  자아야, 내가

네게 보내는 편지, 이것이 나를 변하게 만든다니.... 신기하다 ”


“ 너, 지금 이거구나! 하잖아, 너, 지금 후회하지? 글쓰기 치료책 사놓고, 보지도 않은것

말이야.  오늘 우애령 작가님이 온다고 하니까, 안 읽고 왔잖아,”  “ 그래, 후회해,

하지만 어쩌니.....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알아가는 재미도 있잖아.  너, 자꾸 그럴래,”


난화 속에서 자신이 발견한 그림을 가지고  글을 쓰게 하셨다.

쉬지말고 쓰라고 하셨다.  난화 속에서 자신만이 발견한 그림을 설명하고,

글을 읽는 내 동무들이 얼굴에 울음을 가득가득 담고 터트리기 시작했다.

나는 아닐 것 같았다.  내 차례가 되어 읽는 데 어! 어! 어! 이게 웬일이람.

뱃속에 돌멩이가 눈물이 되어 녹아 나오지 않는가!

정말 아무 생각이 없었다.  나는 뒷 통수를 맞았다.  그런데 그 뒷통수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그림을 보여주고 돌아가면서 보이는 그대로 자신의 생각 그대로 느끼는 그대로

거르지 말고 표현하라고 하셨다.  주절주절 나는 잘도 말했다.

어떠랴.  말하라고 할땐 주저하지 않고 말하는 것이 최고 상책이다. 


시를 읽고,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부분을 이야기 하라고 하셨다.

그리곤 왜 그러냐고 물으셨다.

자아가 나를 놀렸다.“ 너는 잘도잘도 주절주절 대더구나.

이제는 교수님의 목소리가 아주 또렷하게 다 들리나 보네.”

‘나뭇잎이 흔들리며 속삭이는 소리를 듣는다는 것이 이거구나,

꽃들이 서로 이야기 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이 이거구나, 나는 교수님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아니라, 교수님의 마음의 소리를 듣는거였다.

“자아야, 나 그만 가야겠어.   오늘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음을 기약해야겠다.

나, 아이들 수업 약속이 있으니   늦었다.   남편보고 송정까지 차가지고 데리러 오라고 해야겠다.”  


“너, 오늘밤에 글쓰기 치료책 읽겠구나,” “ 나 지금은 버거워, 해야할 일이 많거든.

아직은 아무것도 모르겠다.  무언가 다가오는 데, 안개 속이야,”


나에게는 신비로운 열매를 열게하는 나무의 씨를 선물로 받았다.

그것을 마음밭에 심었다.


다음날이었다.

새벽 5시 30분에 산에 갔다 오면서 나는 시간과 함께 달리고 있음을 느꼈다.

시간이 형상이 되었다.  나는 달리는 것이 아니라 날고 있었다.

어제의 눈물이  오늘 환희가 되었다.  그리고 축복이 온몸을 감쌌다.


글을 썼다.

조금씩 나를 썼다. 

짧지만, 하나를 완성했다.

미국의 제 20대 대통령 제임스 가필드의 아주 짧은 글을 읽으며, 나는 울었다.


저널치료 책도 샀다. “너 언제 이 책 다 읽을래.”

“이제는 급할 것이 없어.  나는 시간과 같이 가거든.  내가 뛰면 같이 뛰고, 내가 쉬면

시간도 쉬거든.  히히, 약오르지?”

“자아야, 네가 예쁘구나,” 나와 함께 해 주어서.......

“아니야, 나를 가지고 있는 네가 참 예쁘다.”

그래, 우리 서로 아끼고, 사랑하자꾸나.



* 내가 나에게 그날의 이야기를 썼습니다.

아직은 무언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이봉희 교수님이 많은 것을 보여 주셨는데, 아주 아주 작은 부분만

내 마음속에 담아왔습니다.  그것을 소중히 여기고, 정말 맛나는 하나의 열매가 되어

내 동무들과 나눠 먹어도 끊임없이 또 줄 수 있는 내가 되길 바랍니다.

이 봉희 교수님을 만난 것에 감사들 드립니다.

 

문학과 독서치료 강의 후기


..달이:

저녁반 이봉희 선생님의 수업은 실재 적용보다는 이론이 중심이었어요.

물론 학생들이 그것을 원했기 때문에 그쪽 방향으로 수업이 진행되었죠.

문학치료에 대해서 더욱 많이 생각해 보는 계기였습니다.


이봉희 선생님과 나눈 글쓰기 치료는 새로운 문학치료적인 방법을 경험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정말, 시간이 더 많이 할애가 되었더라면 좋았을 것을... 싶을 정도로 4시간이 빨리도 지나갔네요.

많은 것을 알려주고 싶어하시는 선생님의 열정이 느껴져서 더욱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그날 제 마음속에 가장 깊은 여운을 남긴 말씀은... "걸리버가 되라"는 것이었습니다.

소인국에 살고 있는 걸리버가 되면... 화살이 날아와도 상처가 나고 아플지언정 죽지 않을 것이고,

눈앞에 높은 산이 있어도 다리 벌려서 훌~쩍 넘어 버리면 그만이니까요.

또한 "내 안의 어린아이"를 사랑하고, 아끼는 방법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는 계기였습니다.

어느덧 겉멋이 들어서 시니컬하게 말하고 생각하는 것이 좋은 줄 알았고,

작은 것에 감동하고 행복을 느끼는 것이 유치한 모습인 줄 착각하고 살았더라고요.


독서치료사를 꿈꾸는 우리 모두가 먼저 걸리버가 되어 의연하고 지혜롭게 문제를 바라봐야겠습니다. ^^

..미
: 저도 -걸리버가 되라-는 말에 많은 공감을 했습니다. 07.05.17 19:48

=============
진e: 2007.05.16 00:09


제일 먼저 그림을 사용한 글쓰기와 그림을 통해 감정을 이끌어 내시던 것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림이 다 마음에 들었고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했어요.

그리고 실습으로 난화를 하고 선생님들마다 돌아가며 나눔을 했는데 그림 속에서 찾아낸 것이, 그리고 그것을 통한 글쓰기가 선생님들 한 분 한 분을 깊이있게 건드리고 문제를 생각나게 하고 감정을 이끌어낸다는 것이 저는 참 신기하고 놀라웠습니다. 단순한 선그리기와 글쓰기에 이렇게 큰 힘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문학치료를 통해 천식과 관절염이 나았다는 것, 그리고 오랫동안 막혔던 관계가 열리고 몇 십년 동안 대화가 단절되어 있던 관계에 대화가 열리고 했다는 경험담을 들으면서 문학의 힘을 느낄 수 있었고 심리학적 이론 없이도 문학 통해, 아름다움을 통해 사람이 치유된다는 것이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글쓰기치료가 상담자에게도 비밀을 굳이 털어놓지 않아도 된다는 것, 아무도 모르게 스스로 하는 활동이 치유를 가져온다는 것이 자아방어가 강하고 노출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 특히 청소년층에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이전에 만났던 거짓말하고 자기노출을 꺼리는 아이가 생각나면서 정말 청소년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기회가 된다면 꼭 적용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난화와 같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앞으로도 혼자서 사용해보아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꼭 복잡한 이론에 기초하지 않고도, 아름다운 그림, 음악, 글을 통해 치유가 이루어진다는 것이 저에게는 신선한 충격이자 큰 위로가 되었고 앞으로 삶 속에서 이러한 문학과 예술을 많이 접하고 제 자신을 풍요롭게 가꾸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수고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

풀꽃)

독서치료학회에서 5월 14일 교수님의 강의를 들었던 최OK입니다.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저한테는 큰 신선한 충격이 들어와 많은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책만 사놓고 읽지 않고 있었는데 지금 글쓰기치료, 저널치료 책을 읽으며, 조금씩 내안의 나에게 다가가고 있습니다.

교수님가지고 계신 자료의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또한 체계적으로 교수님의 강의를 받고 싶은데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도움을 청합니다. 지금 공부하고 있는 것도 있어서, 나중에 시간이 날 때 교수님께 도움을 청하려 하다가 안되겠다 싶어 메일로 제 마음을 보냅니다. 교수님의 강의나 자료의 도움을 간절히 바랍니다.

나이를 잊고 사시는 단아한 모습을 6월을 시작하는 오늘로 부터 영원토록 지켜가소서


===

..경:

오늘 아침 일찍부터 강의가 있다고 하셨는데 어제 늦게 끝나셔서 아침에 일어날 때 힘드셨지요?

어제 '글쓰기치료' 강의를 들은 학생이에요.

교수님의 귀한 말씀들 다시 한번 새겨보았습니다.

에리히 프롬의 말도 좋았고, [죽은시인의 사회]도 좋았고, 기억하고 싶은 말들이 참 많았어요.

시간이 되면 교수님 강의 더 듣고 싶지만 직장에 다니고 있는터라 차후에 기회가 되기를 바랄 수 밖에 없네요.

교수님께서 가지고 계신 것은 많고 시간은 한정되어 있어 모두들 흡족하지 못했을 것 같습니다.

교수님 방에서 '백곰딜레마' 내용을 보려고 하니까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하네요.

허락해 주신다면 저도 들어가 보고 싶은데 방법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교수님께서 어렵게 공부하고 체험하신 것들이 잘 풀려나갈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

..원: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 독서치료학회  문학과 독서치료 시간에 교수님 강의를 들었던 KH원입니다

저널치료 책을 사서 읽으면서 직접 글도 써보고, 친구에게도 이 방법을 권해주기도 했었죠


그런데 글쓰기치료의 강력한 힘을 믿고 계신 교수님을 직접 뵈니까

머리로만 이해했던 것들이 가슴으로 온몸으로 느껴졌어요


강의 듣는 동안 가슴이 답답하기도 하고, 관절이 쑤시기도 하고 머리에 두통까지

내안의 어떤 메세지가 몸으로 전달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 기억 잊지 않아야 겠다고 생각했죠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그러나 너무 늦지는 않게 그 의미를 차근차근 알아가도록 할께요


========

.....자:

어제 밤 수업 받고 글 올렸던 LHJ입니다. 수업내용에 대해 이런저런 얘기를 남편과 같이 하면서 천안 수업을 듣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수요일 시간이 여의치 않아서 안타깝습니다. 가을 학기에도 혹시 문학치료 수업이 그곳에서 있을 예정인가요? 아니면 서울에서도 혹시 수업이 있을 예정이라면, 꼭 받아보고 싶습니다. 제 자신이 자라면서 '쓰지 않으면 견딜 수 없었던 상황'에서 그저 일기처럼 풀어헤쳐 놓았었는데 그런 것들을 이제 좀더 제대로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써 내려가면서도 어제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던 것처럼 "그 다음은 도대체 뭔데? 어찌해야 하는데"에서 걸려 넘어져서 많은 세월을 보냈습니다.

이제라도 늦다는 생각을 저버리고 머릿속 헝클어진 마음들을 수습하고 싶네요. 저는 44세의 주부에 중3, 초등6,초등2학년의 세 아이를 두고 있는 '분발하고 싶은' 어미입니다. 꼭 다음에 만나뵐 것을 기도하면서....

 

====

교수님, 편히 들어가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늘 대학로 독서치료 수업을 들은 이HJ라고 합니다.

오늘 돌아오면서 정말 멀미가 났습니다. 아니, 정확한 표현으로는 구토가 일었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모든 문학이론과 시, 소설, 영화들이 머릿속에서 맴돌았고, 그것들을 모두 토해버리고 싶었습니다.

모두 버리고 다시 담고 싶었습니다. 교수님의 말씀 한 마디 한 마디가 지금도 머릿속을 울립니다.

지금도 도저히 잠을 이룰 길이 없어 복잡한 마음 속에서도 이 방에 들어왔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마음만 달래고 나가겠습니다.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무엇보다도 교수님께서 보여주신 우리를 향한 열정에 감사드립니다. 편안한 밤이 되시기를 ...


===========
SYJ

교수님 월요일 오전 서울에서 수업 받았던 천안의 SYJ입니다.

글쓰기의 효과를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아직 여운이 있어요.  만나서 정말 감사한 시간이었어요.

====

송아지:

오늘 문득 떠오른 생각인데 무심히 넘길 일인가...해서요.어제 남편에게 시어머니에 대한 부담감을 이야기하다가 '정말 사랑스러운 어머니라니까!'라는 말이 툭 나왔습니다. 농담삼아 한 말이긴 했지만, 빈정거리거나 반어적인 표현을 한건 아니었는데. 그런 표현을 했다는게 저도 의외였습니다. 농담으로도 하고 싶지 않은 말이었는데.

저의 시어머니는...저를 많이 울게 한 분이지요. '나를 저렇게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구나'하는 것을 알려준 장본인이고(흑..) 직접적으로 말씀은 안하셔도 온 몸으로 '넌 예의도 없고, 성격을 개조해야해' 하는 메세지를 마구 풍기셨구요. 요즘은 '손자들이 성품 좋은 제 아빠는 안 닮고 엄마를 닮아서 걱정이야' 하는 메세지까지...

그런데 어제 그 말을 하는 순간 문득 어머님이 귀엽게(?) 느껴졌답니다. 70이 다 돼가시도록 관심받고 싶어하시고, 남에게 칭찬 듣고 싶어하고, 자랑하고 싶어하는 모습을 가지고 계시다는게요. 정말 이해할 수없는, 그보다 이해하고 싶지 않은 모습이었는데...

제가 조금 마음에 여유가 생긴걸까요? 막상 또 얼굴을 대하면 어떨진 모르겠지만 제가 조금 담담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좀 용감해진 것 같기도 하구요^^

===

10주간의 KNU 글쓰기 문학치료 특강 - 교실에서 종강파티.





















음악, 미술, 심리치료, 독문학과 교수님들. 그리고 수화, 특수교육, 국문학/심리학, 영문학, 신학 전공 선생님들 정말 멋진 팀이었다.  이 날 두 사람이 참석하지 못했다.  몇 주 후 서울에서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며... 

그동안 대구에서 새벽부터 수강료보다 더 많은 교통비를 내고 KTX로 올라오셨던 4분 선생님들을 보면서 자신을 찾기위한 열의에 정말 감동!!  끝나자마자 대구에서 다시 오후 강의와 수업이 있어 정신없이 뛰어가실 때 마다 참 안타깝기도하고 감동이 되기도 했었다. 또  새벽부터 일어나 아이들 남편 보살피고 서울끝에서 그리고 용인에서 오신 분들께도 감사하다. 그런데 서울에서 하는 모임에 또 오시겠다니. 그저 나의 최선을 다하는 것만 내 할 일인 것 같다.  우리 함께 드림팀 만들어가요~~ 

많은 분들이 울면서 웃으면서 글을 썼고 그림도 그려보았고 영화도 보고 오늘 또 기어이 한분을 울린 음악도 들었다.  같이 울고 웃고 클리넥스를 살며시 옆으로 밀어주며 그렇게 10주가 갔다. 클리넥스타임.  그래. 우리 시간엔 어김없이 클리넥스 타임이 있었다.  자신의 시나 글을 읽을 땐 목이 막혀 당황해 한 적이 어디 한 두번인가.  그냥 울어도 좋으련만 몇십년 스스로를 억제하며 "아름답고 절도있게" 그렇게만 살아온 분들이니 하루아침에 내 안의 나도 모르는 응어리가 풀어져나올 때 혹은 숨어 있는 또 다른 나를 만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이곳에 오신 것만으로도 놀라운 일이다.

이 강의는 맞춤형 강의였다.  각자에게 필요할 경우 특별 글쓰기 과제(권장사항. 물론 권장사항이었어도 정말 열심히 숙제를 하셨다. 참 성실한 분들. 그렇기에 이 수업이 더 잘 되었던 것 같다. 듣고만 가는 수업보다.)를 그때그때 내주어서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본인이 원하지 않는 경우 글의 내용을 읽을 필요가 없음을 매 시간 강조했다.  물론 우리는 첫시간 서약으로 시작했다.  절대 이 모임에서 있었던 사적인 이야기를 허락과 동의가 없는 한 밖에서 하지 않기로. )

변한 Y선생을 보면서 남편이 너무 좋아한다고. 이젠 오히려 남편이 더 불평을 한다고 느껴질 정도로  문제들 앞에 전처럼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 거리를 두고 보면서 침착하고 평안하다고.  겨울모임에 왔을 때도, 그리고 처음 이 모임에 왔을 때도 참 많이도 울었는데. 매시간 처음 글쓰기를 시작할 때와 글의 끝맺음이 달라질 정도로 문제의 뿌리를 찾아 끊임없이 글을 쓰던 Y 선생.  그에게만 내준 특별과제를 한 후 너무 기뻐하면서 자신도 신기하다고 했다. (그 동안 여러 사람에게서 신기하다는 말 자주 들었다.)  또 어려서부터 끊임 없이 일기를 썼지만 이제 보니 늘 마지막엔 자신을 속이는 글이었다고. 남을 보이기 위한, 진정으로 마음으로 느끼지도 않는 '학습된' 사랑과 평화와 용서와 희망의 말들을 쓰면서 그게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라 착각했다고.   그런데 이제 아니라고.  앞으로도 점점 좋아질걸 믿는다.

시를 읽을 때마다 놀라울 정도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찾아내어 글을 쓰던 분들이 참 존경스럽다.  글은 쓰려고 하면 자꾸 무엇인가가 나를 막아서 쓸 수가 없다던, 그런데도 첫날 부터  생각지도 못했는데 눈물이 나와서 당황하셨다던 H선생님...  그 선생님의 마지막 말이 참 인상적이었다.   "그 동안 내가 글을 쓰지 않고 살았다는 걸 잊고 있었어요. 예전엔 늘 일기를 썼었는데.  아까 저널을 쓰지 않은 기간도, 침묵의 기간도 저널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다고 하셨지요. 정말 언제부터 왜 쓰지 않았는지 다시 생각해보고 싶어요. 그걸 알게 해주셔서 감사해요. 이젠 정말 나를 찾아야겠어요.  어둠으로 들어가려해요.  거기에 모든 전등을 환하게 밝히고 이젠 나를 만나려해요."   정말 이제 시작하신 거라고 말해드리고 싶다.

항상 민감한 자기 성찰을 포기하지 않으시는 심리학교수이며 상담사, 문학치료를 공부하는 M선생님은 읽는 시마다 자신의 모습을 놀랍게도 찾아갔고 또 매시간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셨다.  "식구들이 내가 많이 변했다고 해요. 남편이 나보고 종교적용어를 쓰면서 '성령충만'한 사람처럼 보인다고요. 아이들은 요즘 나에게 이런 저런 요구도 많이 하고 (그건 참 좋은 징조에요^^) 예전보다 훨씬 말도 많이해요.   남편에 대해 이런 저런 불만과 그러면서도 사랑하는 양가적 감정 속에서 혼란을 겪고 있었는데 문학치료를 하면서 그리고 계속 저널을 쓰면서 차츰 나 자신을 성찰하게 되었고 문제의 핵심을 보게 된 거 같아요.  사실 남편은 그냥 항상 그자리에 나무처럼 서 있었는데 나 혼자 다가갔다 도망갔다 맴돌았다... 를 반복하며 괴로워하고 있었더라구요."  M선생님은 상담사임에도 문학치료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인정하고 있으며 그것을 제대로 체험하고 알고 적용하고 싶어하는 분이다.  내게 참 큰 힘이되시는 분.

첫날부터 연필과지우개 하나에 놀라운 자기 성찰을 보이시던 E선생님.  참 많이도 우셨는데 아니, 울지 않으려고 하시다 보니 오히려 더 힘드셨는데. 국문학 전공에 심리학 석사, 그리고 문학치료를 공부하시는 분. 역시 시를 읽을 때 마다 남다른 자기 성찰을 하시는 분. 마지막 날도 그만 시 한구절에 눈물을 보이셨다" "참 이상해요.  예전엔 식구들 앞에서 울지 않으려고, 우는 내 모습을 숨기기위해 얼마나 애를 써야했는데 이제 혼자 지내니까 맘놓고 울어도 되는데 울음이 나오질 않네요." 

그만 잠시 들려준 Mozart 때문인 것 같다며 눈물을 보이시던 J선생님.  매시간마다 가슴 찡한 진솔한 글을 쓰셔서  늘 다른이들의 마음을 열어주는 분. 시도 잘쓰고 글도 잘쓰고 나무랄 데 없는 분.  지난 시간 "집으로"가는 길에 대한 정말 멋지고 슬프면서도 한편 묘하게 따뜻한 동화를 그자리에서 쓰셨다.  그 글의 끝에 자신도 모르게 희망의 빛, 아침을 향해 가고 있었다는 게 얼마나 내심 기뻤는지. 선생님 자신도 알고 있을까?  자신의 글이 늘 아픔 뒤에 희망과 따스한 빛이 별처럼 숨겨져 있다는 걸.   그러고보니 얼굴도 점점 밝고 예뻐지신다. 오늘도 어김없이 가슴이 찡한 글을 쓰셨다.  아 참! 가져오신 치킨 모두들 맛있게 먹었는데. 

꼭 필요한 사람들이 오게 해주세요라고 기도하고 있는데 내 방문을 두드린 S선생님.  처음 만난지 9년가까이 되었으니 오랜 인연이다.  그때도 전혀 모르는 타과 학생이 내 방문을 두드렸었지.  글쓰기치료라는 말에 두 말 않고 등록하였디. 그런데 자신이 해결하고 싶던 문제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들을 찾게 되어 아직도 열심히 그 문제와 대화를 하고 있는 선생님. 언제나 모든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는 참으로 성실과 노력, 그 자체인 분.  꼭 이 문학치료를 계속했으면 좋겠다.

항상 주변의 작은 일의 큰 기쁨을 찾아 이야기 하시고 늘 긍정적인 시각을 가진 K선생님.  자신의 꿈과 열정을 위해 문학치료에 관심이 있어 종강하자 마자 먼 곳으로 찾아와 등록하신 D독문학 교수님. 학회에서 단 한번 만난 그 순간 나와 전기가 통했다는 선생님.  그날도 학회 후 나를 붙잡고 한시간이 넘도록 이야기를 했었다.  치열한 열정이 꼭 꽃이 피기를 기원한다.

이제 겨우 시작인데
문학과 글쓰기가 이 분들에게 남은 일생동안 아픈 일, 기쁜 일, 힘든 일, 슬픔과 좌절, 아무도 모르는 외로움으로 굴곡진 삶의 여정에서 말 없는 친구요 동반자요 또한 내면의 지혜와 창조적 자아를 캐어내 주는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꼭!
(5/9/07-7/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