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rald Media
헤럴드 경제 >> 생생뉴스 >> 세상사는 이야기 2008.07.23 (수)
고달픈 심신 치료법 ‘저널테라피’ 를 아시나요
일요일 낮 서울 청량리 한 교회의 세미나실에 열 명 남짓한 사람이 모여앉았다. 이들 앞엔 색연필, 도화지, 일기장이 놓여 있다. ‘저널테라피’를 체험하고 배우려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이들은 마음에 드는 색깔의 색연필을 골라 도화지에 아무렇게나 그림을 그린다. 형상을 그리는 게 아니라 그저 낙서다. 그다음 치료사가 낙서에서 떠오르는 형상을 찾아내라고 한다. 어떤 이는 꽃, 어떤 이는 사람의 얼굴을 찾아냈다. 이 낙서에 대해 각자 스스로 감상문을 쓴다. 참석 경험이 적다는 한 참가자가 당황하자 치료사가 “생각을 하려 하지 말고 펜 가는 대로 순식간에 써내려 가라”고 주문한다.
그리고는 그 감상문에 대한 감상문을 또 쓰게 했다. 자신의 감정이 투영된 글을 직접 읽고 분석하면서 스스로 문제점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그런 속에서 때론 웃음, 때론 울음이 쏟아졌다. 논리나 이치에 맞는 글은 아니지만 감정을 충실히 담아낸 글이다. 글 쓴 당사자는 자기 글을 읽어보며 조금씩 내용도 감정도 변하는 걸 경험한다. 부치지 않고 쓰기만 한 편지 한 장, 감정 흐르는 대로 쓴 일기 한 토막이 놀라운 일을 해내는 것이다.
글쓰기를 이용해 심신의 병을 치유하는 ‘저널테라피(Journal Therapy)’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2000년께 국내 의과대학 등에서 도입됐지만 잠잠하다 최근 관련 학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보급, 응용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에서도 최근 ‘의사문학제’란 이름으로 이와 연관된 행사를 진행했다.
저널테라피는 일종의 문학치료다. 마음속이 복잡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일기를 쓰거나 낙서를 하면 마음이 진정되던 경험을 누구나 한두 번쯤 갖고 있게 마련이다. 저널테라피는 그런 원리에 착안해 지난 60년대 미국에서 자기계발과 자가치료의 한 방법으로 등장했다. 정신과 상담이 보편화된 미국이지만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아 스스로 치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국내에는 2000년대 들어서야 뒤늦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시, 소설 등 문학작품을 매개로 자주 사용하는 까닭에 문학치료의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
미국 공인 문학/ 저널치료 전문가인 이봉희 나사렛대 교수(한국글쓰기.문학치료연구소 소장)는 “저널테라피는 의학적.임상적으로 검증된 기법으로서 미해결된 심리적 상처와 고통을 해결받을 뿐 아니라, 이를 익혀 습관화하면 일생 동안 여러 작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의학계에 보고된 저널테라피의 효과는 몸과 마음의 병을 아우른다. 영양주사로 연명하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경우 앓던 우울증이 호전됐고, 류머티즘과 천식환자들의 질병 심각도가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의학전문지 자마(JAMA)에 소개된 바 있다.
이봉희 교수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사례가 많다. 미혼 여성 안모(47) 씨는 27년간 어머니와 심각한 갈등을 겪으며 살았다. 어머니의 뜻을 거스르고 싶은 심보로 결혼도 하지 않고 머리도 자르지 않았다. 직장에서도 어느 한 곳에 안주하지 못하고 자주 옮겨 다녔다. 그런 중 ‘저널테라피’를 받으면서 어머니와의 관계를 회복했다. 뿐만 아니다. 어두웠던 안색도 밝아지고 그간 겪던 탈모 증세도 사라졌다. 심지어 이마 주름도 거짓말처럼 사라졌다. 1년 뒤엔 아토피 피부염도 사라졌다.
30대 여성 직장인 김모 씨는 직장상사의 강압적이고 일방적.비협조적인 처사 때문에 두 달이 넘도록 감정을 주체할 수 없어 고통을 받았다. 하지만 저널테라피를 받으면서 직장상사와의 감정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었다.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사랑받지 못하고 인정받지 못한 상처가 있었다는 사실도 깨달을 수 있었다. 이 교수는 이 밖에도 국내에서 탈모, 변비 증상이 개선되거나 금연, 금주에 성공하는 등 다양한 치유 사례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저널테라피는 애초에 자가치료로 개발된 만큼 누구나 혼자서 할 수 있다. 남을 의식하지 말고, 날짜를 기록하며 쓰는 것이 규칙 정도다. 하지만 일기조차 남을 의식하고 써온 사람들에게는 이조차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이런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 것도 현실이다. 이때 관련 자습서적이나 저널테라피 전문가들이 도움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의뢰인이나 내담자들이 마음속 감정을 편안하게 글로 풀어내고 그 글을 통해 자신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스스로 발견하고 해답을 찾을 때까지 여러 문학작품, 특히 시를 사용하여 글쓰기 주제를 던져주거나 가장 효과적인 저널기법 등을 조언해준다. 일기, 시나 소설 등 문학작품에 대한 지극히 사적인 반응을 글로 쓰고, 자신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대상을 향한 보내지 않는 편지, 혹은 대화기법 저널, 목록, 순간포착, 등 글쓰기 형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바뀐다.
그렇다고 저널테라피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병을 앓고 있지 않은 일반인이 대상이며, 전문적인 의학치료의 보조수단일 뿐이다. 예컨대 저널테라피가 혈압을 낮춘 사례는 보고되고 있지만 고혈압 환자가 꾸준한 관리와 약 복용 없이 저널테라피만으로 혈압을 낮출 생각을 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하다. 심각한 우울증이 있다면 저널테라피를 먼저 시도할 게 아니라 정신과 상담이 우선이다.
이 교수는 “미국에서는 저널테라피 등 문학치료가 일반인 뿐 아니라 정신과 환자와 약물중독자, 교도소 수감자 등에게 폭넓고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며 “국내에서는 경쟁과 성과 위주 교육에 시달리는 학생이나 직장인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용직 기자(yjc@heraldm.com)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8/07/23/200807230085.asp
글쓰기를 통한 마음의 치유...신간 '글쓰기치료' |
|
|
|
|
"심리적 외상과 감정의 격변에서 회복되기 위한 감정표현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사랑하는 사람의 예견했던 죽음이나, 이미 피할 수 없는 이혼이나, 미래에 벌어질 것이 확실히 눈앞에 보이는 어떤 문제에 대해서 글을 쓴다면 도움이 될 수 있을까? 물론이다. 글쓰기는 무료 치료사이다. 글을 쓰면서 당신이 왜 지금과 같은 감정을 가지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런 감정들이 당신의 삶의 다른 사건들에 어떻게 연관되었는지 스스로 탐색할 수 있다.
상처 입고 고통 받은 경험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그저 종이에 옮겨 적는 것만으로도 정신적, 육체적인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미국에서 가장 인정받는 심리학자 중 한 사람인 페니베이커의『글쓰기치료』는 지금 그 자리에서 바로 연습할 수 있도록 간결하고 강력하게 준비되어 있는 글쓰기치료 워크북이다. 각 글쓰기 연습은 세상의 가치에 대한 보다 선명하고 확고한 감각을 일깨워 줄 것이며, 비록 힘들고 절망적일 때조차 삶은 여전히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길러 준다.
글쓰기 치료에 대해..
고통의 경험은 그 자체보다도 그것을 억압하고, 깊은 무의식의 세계 속에 비밀로 간직하는 스트레스와 부담이 더 문제가 되어 정신적 부적응성, 질병뿐 아니라 천식, 관절염 등 여러 육체적 질병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그 고통스러운 체험이나 말 못할 상처와 비밀들을 어떤 형태로든 표현할 때, 예를 들면 일기를 쓴다든지 친구나 남편, 아내, 또는 부모에게 털어놓거나 목사나 신부를 통한 종교적 고백으로 아니면 가상의 소설로 써서라도 분출할 때, 심리적 외상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일으키는 정신적 질병뿐 아니라 육체적 질병의 치유에도 현저한 효과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문학을 엑소시즘이라고 말하는 것도 다 같은 맥락일 것이다.
페이베이커 교수는 20년간에 걸친 연구를 통해 그 어떤 털어놓기나 표현보다 언어를 통한 글쓰기가 정신적 건강뿐 아니라 면역체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책은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인들이 스스로 자신의 감적적인 격변과 고통스러운 심리적 외상의 경험을 해결하도록 돕기 위해 만든 책이다. 그뿐 아니라 표현적 글쓰기는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개발시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
만일 당신이 현재 어떤 종류의 심리적 외상이나 감정의 격심한 변화를 겪고 있다면 당신은 이 책을 열면서 용기 있는 한 걸음을 내디딘 것이다. 어쩌면 당신은 계속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문제해결방법을 찾고 있는 중이었는지 모른다. 어쩌면 당신은 심리적 외상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회피하고 아무 일도 없는 듯 외면하고 싶은 유혹에 빠질 수도 있다. 당신의 가장 친한 친구들 중에도 당신이 그렇게 하기를 원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 당신은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거대한 감정의 격변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이 워크북은 심리적 외상이나 감정의 격변, 트라우마를 견디며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심리적 외상의 복잡성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우리 삶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것은 오래된 과거에 발생되었던 일이었거나 아니면 바로 지금 겪고 있는 일일 수도 있다. 어쩌면 그것은 단 하나의 사건일 수도 있고, 장기간의 만성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당신은 아마도 그 일에 대해 지나치게 생각하고, 걱정하고, 심지어 꿈에서까지 시달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표현적 글쓰기 방식들은 당신이 느끼고 있는 갈등, 스트레스, 혹은 고통을 벗어나도록 도와줄 것이다.
워크북 안에다 글을 쓰도록 만들어졌지만, 꼭 책 안에다 글을 쓸 필요는 없다. 어떤 이들은 컴퓨터에 직접 쓰는 것을 더 좋아한다. 당신이 워크북 안에다 글을 쓰든 쓰지 않든 글쓰기의 가치에는 차이가 없다. 그 가치는 직접 글을 쓰는가에 달려 있을 뿐이다. 또한 이 책은 글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많은 질문에 대한 답을 준다. 이른 아침, 점심시간, 잠자기 전 등 글을 쓰는 시간에 대한 취향부터, 소설, 시, 춤, 미술 등을 활용한 창의적인 글쓰기 방법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얼마나 자주, 무엇을 써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도 답을 준다.
날마다 일기 쓰기가 좋은 생각인가 아닌가에 대한 물음에 저자는 사람들이 매일 글을 쓰는 습관에 빠지면 중요한 심리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투자하는 시간이 점점 줄어들 수도 있다고 말한다. 일기쓰기는 ‘필요할 때 쓰기’의 원칙을 따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당신의 삶이 순조롭거나, 당신이 행복하고 과거의 무엇인가에 얽매어 있지 않다면 자신을 지나치게 분석할 필요는 없다. 지난 일을 버리고 자신에게 다가오는 인생을 맞아 즐겨라. 그리고 고통이 다시 찾아온 그 순간 고통을 처리하기 위해 글쓰기를 시작하라.
글쓰기치료 Writing to Heal : A Guided Journal for Recovering from Trauma & Emotional Upheaval James W. Pennebaker 저 | 이봉희 역 | 332면 | 크라운판 | 반양장 2007-01-10| 13,000원 | ISBN 978-89-5891-379-5 93180
|
From: ***@aol.com To: ...... CC: KAdamsRPT@aol.com, dajoslyn@sbcglobal.net, joysawyer@comcast.net Subject: SEEDS OF JOY INFORMATION Date: Mon, 19 Mar 2007 08:17:40 -0400
March 18, 2007
Bonghee Lee CAPF Director, Korea Center for Poetry/Journal Therapy Prof., English Dept., Korea Nazarene University
Dear Bonghee:
It is with great pleasure that I write to let you know that you will be receiving one of two Seeds of Joy Award to honor our international NAPT members who are making a difference with their work with poetry/journal workshop facilitation.
You were given this award for your work with developmental groups in which you have helped many people in Korea and here in the U.S. with powerful growth opportunities and therapeutic outcomes through the use of journal writing and poetry. Your tireless work to make sure that these classic poetry and journal therapy texts are available to others in Korea indeed makes us in feel very lucky to have you in our midst.
A check for the $1000 award will be presented to you at the conference. Your conference registration will also be paid for. Please do not hesitate to register before the March 31st deadline. I look forward to seeing you again in Portland. Congratulations!
All best regards,
Normandi Ellis President, NAPT Foundation
-------- President Normandi Ellis,
It is my greatest honor to get one of two Seeds of Joy Award. I will continue to do my very best to sow and plant the NAPT(NFBPT) spirit and the power of words and poetry here in Korea. Thank you so much for encouraging me thus.
I want to share this honor with my Mentor and Supervisor Kathleen Adams who never gets tired of listening to me and reading my long email.
I would also like to thank you, Normandi Ellis, and Joy Sawyer, my facilitator at Denver, Perie Longo, Caryn Mirriam-Goldberg, as well as all the beautiful people I met at the NAPT Conference at St. Louis who have become my inspirations.
Looking foreward to seeing you again in person at Portland very soon,
Best wishes,
Bonghee Lee, Ph.D.,CAPF/CJF Director, Korea Center for Poetry/Journal Therapy Prof., English Dpt., Korea Nazarene Univ.
|
| 카테고리 _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608)
|
|
 |
글쓰기문학치료 [문학치료와 저널치료] (76)
|
|
 |
시가 있는 풍경 (271)
|
|
  |
tell me(findyourvoice) (0)
|
|
 |
마음 속 풍경 (73)
|
|
|
|
|
|
| 최근관련글 _recent trackbacks
|
|
|
| 블로그정보 _blog info
- 오늘방문자 :
- 어제방문자 :
- 전체방문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