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읽는 풍경'에 해당되는 글 59건


Gogh-Olive Trees(1889. Scottich Gallery)

/here only for educational and/or therapeutic purposes
----------------

 

Oliver Trees(1889, MOMA)

대지에 묶여있다고 달려갈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대지를 끌고, 그 무거운 중력의 무게를 거스르며 질주하는 나무,
하늘 향해 솟아오르는 나무를 보라.
이미 하늘빛을 닮아버린
저 뜨거운 불을 보라.





van gogh- the sower with the setting sun/ the sower


















고흐의 씨뿌리는 사람들은 모두 황혼에 씨를 뿌린다.  씨를 뿌리는 일은 고흐에게 죽음과 탄생의 끊임없는 자연의 순환을 상징하였다. 황혼에 씨를 뿌리는 것은 이어지는 밤, 즉 씨앗이 죽음의 과정을 통해 다시 생명(아침)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말하고자 하는 고흐의 의도를 드러내주고 있다.

2007년도의 글을 옮겨왔다. 이번 전시회에서 이 그림(원래 모마의 소장품이었던)이 당연 포함되어 있었기에.

(at MOMA, YNC, 2007)


"타라스콩이나 루앙에 가려면 기차를 타야 하는 것처럼, 별까지 가기 위해서는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
죽으면 기차를 탈 수 없듯, 살아 있는 동안에는 별에 갈 수 없다."
"Looking at the stars always makes me dream. Why, I ask myself, shouldn't the shining dots of the sky be as accessible as the black dots on the map of France?  Just as we take the train to go to Tarascon or or Rouen, we take death to go to a star." The next year, van Gogh committed suicide.
ㅡㅡ
몇 년 전 처음 이 그림을 만났을 때, 상상했던 것보다 작은 화폭에 담긴 별이 빛나는 밤에 의외였다.  그 만큼 이 그림은 나에게 (우리모두에게 그랬겠지만) 우주을 품은 거대함으로 가슴에 새겨져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도 가만히 바라보면 역시 그 작은 화폭에 온 우주가 들어있다. 어떻게 저 작은 화폭에 온 우주만한 고독과  열망과 알 수 없는 두려움의 소용돌이를 담을 수 있을까?

사진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붓의 터치.. 가장 많은 사람들이 그 앞에서 떠나지 않고 모여있는 그림이다.

볼 때 마다.... 언제봐도... 고흐의 모든 그림이 그렇듯이 이상하게 슬프고 아프다.  그리고 그의 슬픔과 아픔은 늘 날이 서 있지 않고 감동적이다.  그 아픔이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를 감싸 안아 준다.  그게 내가 기피하는 몇몇 예술가들(아픔에 날이 서있고 그 아픔을 세상을 향해 외치는 독으로 사용하거나 자신의 영혼을 파괴하는 힘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날 것으로 세상에 들이대는... 그래서 그 그림앞에 그만 눈을 감아버리고 마는...)과  다른 점이며 모두들 예외없이 고흐를 사랑하는 이유인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지상은 수평선 아래처럼 고요히 잠들어 있는 밤, 그 정지된 정적 위로 현기증 같은 고독이 몸부림치고 요동치고 있다.  갇힌 공간에서 끊임없이 요동치고 움직이는 에너지.... 그것은 무엇일까?
열정?  검은 싸이프러스 나무가 마치 검은 불꽃처럼 검은 하늘, 죽음으로 밖에는 도달할 수 없는 저 높은 별들의 화염속으로 손을 뻗는다.  이 그림속의 열정은 어김없이 두려움과 고통을 수반하고 있다. 무엇에 대한 두려움일까?

어디선가 내가 쓴 적이 있는데, 고흐 그는 자신을 버린 세상을 버릴 수 없어서 스스로를 버린 사람이라는 생각이다 든다..... 이 그림을 그린 다음 해 그는 스스로 세상을 버렸다.  그는 죽음을 타고 저 별로 갔을까?
아니,  어쩌면 죽음을 타고 가서 저 별이 되었으리라...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로 빛나는 별....

이 그림은 고흐가 밖에서 그린 그림이 아니다. 이 그림을 그릴 때 그는 건강이 않좋아서 밖으로 나가도록 허락을 받을수 없는 상태였다. 그는 이 그림을 대부분 기억에 의지해 그렸고 창문을 통해 보는 밤하늘을 그렸다고 알려져있다.  그렇게  '별이 빛나는 밤'은 그의 영혼의 밤이며 가위눌리는 고독과, 지치도록 끈질진 그리움과 슬프도록 강렬한 열정을 그린 그림이다.

가끔 무심히 잠들어 있는 영혼의 밤, 어디선가 저런 소용돌이 치는 열정이 살아 말없이 날 부르고 있는 것은 아닐까 깜짝 놀라 어둠 속에서 깨어 사방을 둘러본다.

[크기를 알 수 있도록 내가 곁에 선 사진을 올려본다. MOMA는 내가 전에 갔을 때와 또 달랐다. 2004년  개축 후 세계 3대 미술관이 되었다.  건축물은 찻잔과 같아야한다며  “건축물이 눈에 띄지 않고, 단지 마시듯이 느낄 수 있도록 했다”는 일본인 건축가 다니구치 요시오의 작품. 건물자체가 예술이었다. 공간과 공간사이의 소통. 4시간이 넘도록 있었는데도 아쉽게 나와야 했다.  3층의 건축·디자인 갤러리도 꼭 들러본다.]

 

The Potato Eaters(1885)

81.5*114.5cm, 1885년 4월, 유화

나는 램프 불빛 아래에서 감자를 먹고 있는 사람들이 접시로 내밀고 있는 손, 자신을 닮은 바로 그 손으로 땅을 팠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려고 했다. 그 손은, 손으로 하는 노동과 정직하게 노력해서 얻은 식사를 암시하고 있다. 이 그림을 통해 우리의 생활방식, 즉 문명화된 사람들의 생활방식과는 상당히 다른 생활방식을 보여주고 싶었다. 사람들이 영문도 모르는 채 그 그림에 감탄하고, 좋다고 인정하는 것이 내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일이다. "(편지)

Cafe de Nuit (1888)

고흐가 그린 풍경이 자연의 강렬하고 영원한 리듬을 담고 있다면 노란 가스등의 가혹한 빛으로 밝혀진 고흐의 도시의 밤은 더욱더 불길하고 고독한 세상을 그려내고 있다.
Night Cafe는 고흐가 3일간 꼬박 자지 않고 그린 그림으로 인간 열정의 "지옥같은 도가니"를 그려내기 위해 6-7개의 다른 뉘앙스를 보이는 붉은 색과 녹색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천정에 매달려 이글거리는 가스등은 열린 공간, 밤하늘에 매달려 타오르는 별빛을 상기시킨다.

이번 전시회 그림 중 가장 충격적인 파워를 가진 그림이었다.
그동안 화집을 통해 얼마나 이 그림의 진실된 힘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던가...
그날 전시는 사진을 찍지 못하게 되어있었다.  인터넷에서 아무리 찾아도 그 색감을 보여주는 것을 찾지 못하겠다.

 

Starry Night Over the Rhone, Oil on canvas, 72.5×92.0cm,
Arles: September, 1888 (Paris, Musée d'Orsay)

 (used here only for therapeutic and/or educational purposes)



























고흐의 그림은 실제로 보는 것과 사진과 비교할 수가 없다.
그림이 그림이 아니라 생생히 살아있는 생명체라는 것을 재삼 확인시켜준 그림.
그건 살아있는 누군가의 생생한 눈동자를 들여다보며 마주할 때와 사진을 볼 때의 차이와 같다고 할까?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할 수도 있다.  이번 MoMa에서 이 그림을 만날 줄이야.  헉- 하고 숨이 멎었다.  스땅달 신드롬까지는 아니지만 이해가 간다.
어린 시절 (고등학교 때) 당시로서는 구하기도 어려웠던 화집에서 손바닥만한 고흐의 그림 하나 벽에 걸어놓고 밤새 공부는 하지도 않고 그 그림만 하염없이 쳐다보면서 밤을 샜었는데.... 그의 그림에는 어떤 열정과 생명력과 고뇌와 사랑이 담겨져 있기에 그런 힘이 나오는 것일까? 아이가 한숨 쉬듯 말했다. 나도 누군가에게 감동을 주는 작업을 하고 싶어.

더 이상 말하고 싶지 않다.  가끔 그림이나 음악에 해설을 다는 것이 몹쓸 짓인 것만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나의 언어가 그 그림에 줄을 긋는 일이나 다름 없을 것이므로.   만일 언어로 표현할 수 있었다면 문필가에 버금가는 고흐가 글로 표현했겠지....  그러니 나의 조악한 언어로 무엇을 말할 수 있겠는가. 그저 행복했다. (이 단어 내가 함부로 쓰지 않는 단어이다... 행복!  그건 내가 진정 축복받았다고 느낀다는 의미이다.  그래, 가장 불행했던 자, 그러나 가장 행복했던 자... 그들은 누군가에게 늘 생명을 전해준다. )

--
                         
"I have a terrible need of -- dare I say the word? -- religion. Then I go out at night to paint the stars...
나는 종교--감히 이 말을 해도 될까?--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  그러면 나는 밤에 밖으로 나가 별들을 그린다.-(Vincent van Gogh, Arles, 1888)

요즘은 별이 반짝이는 하늘을 그리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다.
밤이 낮보다 훨씬 더 풍부한 색을 보여주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강렬한 보라색, 파란색, 초록색들로 물든 밤....
어떤 별들은 레몬빛을 띠고 있고,
다른 별들은 불처럼 붉거나 녹색, 파란색, 물망초빛을 띤다.

하늘은 청록색이고, 물은 감청색, 대지는 엷은 보라색이다. 도시는 파란색과 보라색을 띠며, 노란색 가스등은 수면 위로 비치면서 붉은 황금색에서 초록빛을 띤 청동색으로까지 변한다. 청록색 하늘 위로 큰곰자리가 녹색과 분홍색의 섬광을 보인다. 그 중에서 희미하게 빛나는 별은 가스등의 노골적인 황금색과 대조를 이룬다. 전경에는 두 연인의 모습이 조그맣게 보인다. 지도에서 도시나 마을을 가리키는 검은 점을 보면 꿈을 꾸게 되는 것처럼, 별이 반짝이는 밤하늘은 늘 나를 꿈꾸게 만든다."  (Vincent van Gogh)

---
MoMa: Van Gogh and the Colors of the Night

Chagall-Adam et Eve chass du Paradis (used here for therapeutic/educational purposes only)


















"야훼하나님께서 사람을 지으신 것을 후회하셨다."

아담에게 내것이 다 네것이라 하면서 에덴의 모든 것을 다 허락하셨는데
아담은 생명나무를 버리고 그 자신이 누구인지를 망각한 채 사과나무를 택하였다.

아담과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나누기 위해  만든 세상, 바로 그 에덴에서 아담을 내쫓고
화염검으로 울타리를 치시고 생명나무를 지키시려던 하나님의 심정이 어떤 것이었을까? 

후회...
신도 후회하셨다.
주님에게도 사랑은 참으로 고통스런 일이었다.
그리고 그 고통과 사랑의 극치가 "십자가"였다.


























Chagall-la crucifixion blanche1938

Seascape at Saintes Maries de la Mer -Van Gogh

 



자연 속 폭풍우의 드라마, 인생의 괴로움의 드라마, 이것이 내게는 가장 완벽한 것이다.

(빈센트 반 고흐)

---

"당신의 바다는 이렇게 광활한데
나의 배는 너무나 작고 위태합니다."(KFK)

by Hopper- Chair Car  (only for educational use

--------------

정말 무지무지 좋아하는 화가에요.

창. 그리고 집/방(내부)과 밖. 창은 거의 대부분 안에서 밖, 닫힌 세계에서 열린 세계를 향한 통로인데 호퍼의 그림은 거의 밖에서 안을 들여다 보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요. 히치콕의 <이창>에서 처럼 말에요. 제가 좋아하는 테마 중 하나인 눈, 카메라, 창, 프레임, 등을 생각하게 하는. 아, 그리고 그 창에 부풀어 흔들리는 커튼이 나오는 그림.. 그 커튼은 숨결처럼 유일하게 정지된 곳에 현실성을 부여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그 묘한 빛과 그림자..

진공관 처럼 공존하는 고독... 악 소리 지르게 외로운 거리...

예전에는 고흐의 그림 하나만 멍하니 보면서 밤을 샌 소녀시절이 있었는데 언젠가 부터는 호퍼만 만나면 온몸이 반응을 보이는 듯 공감하고 좋아합니다.

지난번 영국의 자칭 quality vandal이라는 Banksy가 호퍼의 Night Hawks의 그림을 그 견고한 숨막히는 창을 의자를 집어던진 그림으로 패로디 한 것이 생각납니다. 하하. 통쾌하게 느낀 것은 호퍼의 그림에 대한 패로디가 통쾌해서라기보다 그의 그림이 주는 메시지와 느낌에 대한, 그 고통스런 진실에 대한 카타르시스적 웃음이었는지 모른다는 생각했었어요.

이 그림도 기차안의 풍경을 그린 것인데 마치 출구없는 콘크리트 벽으로 된 내부처럼 보입니다.  제단처럼 종교적인 분위기마저 느껴지는...  사람들이 없는 텅빈 내부가 아니건만 작은 벽을 쌓고 완강히 단절을 고집하는 의자들처럼 저 승객들은 서로에게 관심도 소통도 없군요.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과 색감들이 외로움과 단절을 더 '환히' 느끼도록 해줍니다.












이 발을 보는 순간 가슴이 철렁했었다.
저 발은 이 땅 위를 떠나 서 있다.
땅 위를 딛고 있는 발이 아니다.
하늘로 날아 올라가고 있는가?  하늘에 매달려 있는가?

고통은 우리를 이미 이 세상 너머로 데려가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초월일까? 
서러운 부유일까?



귀향길에 선 사람의 모습으로 고향을 떠나는 한 사람...
아니, 집으로 돌아오는 외출길이라고 해야할까?
시골길에 연미복과 모자와 우산을 갖춰든 이방인의 행색을 한 귀향인.

장욱진의 다른 그림들에서 더 잘 나타나있지만 그의 색채를 보면서 참 눈에 익다는 생각을 했었다. 어느 겨울 나와 그 전시회를 보고 싶어 일부러 먼 길을 올라온 친구와 함께 장욱진 전을 보다가 답을 찾았다. 그의 색채는 민화의 색채와 너무나 흡사했다. 그게 그의 동화같은 그림에 한국적인 깊은 정서와 이야기를 담은 이유이라는 생각이 든다. 서양의 천국도 불교의 니르바나도 아닌 현세와 영원한 곳이 구분되지 않는 특이한 해탈의 경지. 세상을 부인하지도 세상에 묶여있지도 않는 그의 세계. 그의 세계에는 그래서 시간과  공간이 이분되거나 구분되지 않고 공존한다. 어른의 세계와 아이의 세계가 현실과 꿈의 세계,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것도 같은 맥락인지 모른다. 한 공간에 존재하는 달과 해, 하늘 위에 자리잡은 땅, 땅 속에 떠있는 하늘들.

이 그림에서도 떠남과 돌아옴이 공존하고 있다.
화가의 얼굴에 담긴 아이와 어른의 신비한 조화처럼.  슬픔인지 기쁨인지 무엇인지 모를 표정처럼.
이런 이들의 얼굴에서는 그 조화로 인해 새로운 세계가 탄생한다. 장욱진 화백의 얼굴이 그렇듯이.

반면 그 두가지가 투쟁을 벌이는 얼굴들이 있다. (이하 생략)

 

-----
장욱진 화백의 말:
그는 이 그림을 '자상(自像)'이라고 불렀다.  자상(나의
모습)과 자화상(나를 그린 모습)을 구분한 의미가 무엇일까 흥미롭다.

" 일명「보리밭」이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이 그림은 나의 자상自像이다.
  1950년대 피난중의 무질서와 혼란은 바로 나 자신의 혼란과 무질서의 생활로 반영되었다. 나의 일생에서 붓을 못들은 때가 두 번 있었는데 바로 이때가 그중의 한번이었다. 초조와 불안은 나를 괴롭혔고 자신을 자학으로 몰아가게끔 되었으니 소주병(한되들이)을 들고 용두산을 새벽부터 헤매던 때가 그때이기도 하다.
   고향에선 노모님이 손자녀를 거두시며 계시었다. 내려오라시는 권고에 못이겨 내려가니 오랜만에 농촌자연환경에 접할 기회가 된 셈이다. 방랑에서 안정을 찾으니 불같이 솟는 작품의욕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물감 몇 개 뿐이지만 미친 듯이 그리고 또 그렸다. 「나룻터」,「장날」,「배주네집」. 이「자상自像」은 그중 하나이다. 많은 그림들이 그 역경 속에서 태어났니 동네사람들이 가인이라 말하도록 두문불출, 그리기만 했던 것이다. 간간이 쉴 때에는 논길 밭길을 홀로 거닐고 장터에도 가보고 술집에도 들러본다. 이 그림은 대자연의 완전 고독속에 있는 자기를 발견한 그때의 내 모습이다. 하늘엔 오색 구름이 찬양하고 좌우로는 자연 속에 나 홀로 걸어오고 있지만 공중에선 새들이 나를 따르고 길에는 강아지가 나를 따른다. 완전 고독은 외롭지 않다" <畵廊 1979년 여름호>

물론 장욱진에 대한 생각은 나의 생각이다. 난 그림을 볼때 전문가들의 해석을 읽지 않는다. 나와 그림과의 대화를 방해받고 싶지 않아서이다. 우리의 대화가 충분히 이루어진후 그후에야 시간과 기회가 허락되면 미술평을 읽는 셈이다. 음악도, 시도 마찬가지지만...

가끔 내 생각이라고 밝히는 이유는 전문가적, 학문적 근거가 없다는 말이고 또하나는 내가 말하고 나면 전문가 누군가가 그 말을 한 것을 나중에 일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내 생각과 남에게 따온 생각을 구분하여 밝혀두고 싶어서이다.

 




photo by bhlee(c)2004



우리는 탐험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탐험의 끝은 바로
우리가 출발했던 그 지점으로 돌아오는 일
그리고 그 곳을 처음으로 알게 되는 것.
(T.S. 엘리엇- 4개의 사중주)

We shall not cease from exploration
And the end of all our exploring
Will be to arrive where we started
And know the place for the first time.
(T.S. Eliot -Little Gidding-FQ)







미로. 어쩌면 결국 우리의 시작에 끝이 있고 끝에 시작이 있는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시작과 끝은 처음의 시작과 끝이 더이상 아니다.

 

portraits of van gogh
(위 가운데 그림은 자화상이 아니라 툴르즈 로트랙이 그린 고흐.   돌아 앉은 고독한 사나이의 옆얼굴이 너무 간절해 보인다.)

Edward Hopper(1882-1967)-Night Hawks(1942)

AIC(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 보았던 내가 정말 좋아하는 그림!  난 호퍼가 좋다.

 

어린시절엔 방벽에 붙어 있는 달력에 있는 (독일 회사의 달력이었다) 호퍼의 그림을 이해하지 못했었다. 고흐나 마티스, 샤갈,  이런 사람들의 색체에 반해서 호퍼의 그림이 나오는 달은 달력 그림을 오려서 다른 것으로 바꿔 놓기도 했던 기억이 난다.   호퍼를 이해하기엔 내가 너무 어렸고 아직 인간의 고독과 소외에 대해 알지 못했었다.  그러다 어느 때 부터인가 난 이 사람에게 반하기 시작했었다.  언제였나?  히치콕을 공부할 때 부터였나?  아니, 그 이전부터 였었다.

호퍼의 그림에서 창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열린 공간, 밖을 향한 장치가 아니다. 오히려 밖에서 내부를 들여다보게 되어있다. 심지어 주인공이 창밖을 내다보고 있는 그림에서 조차 창은 역설적으로 그림 속 인물이 갇혀 있는 내부를 강조해주고 있다.  이 그림을 보면서 받는 충격은 출구없는 넓은 창 (내부의 벽 뒤에 있는 문은 출입구처럼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또 다른 내부로 향하는 문과 같이 보인다.)과 그 속에 단절된 외로운 인물들,  그리고 모든 도시가 죽은 듯한 늦은 밤 환상처럼 눈부시게 빛을 발하고 있는 횡한 식당,  거리 어디에선가 서 있을 가로등의 빛이 빚어내는 시리디 시리다 못해 으시시한 풍경때문이다.   빛과 어둠과, 거대한 창, 창안의 고립되고 갇힌 몇명의 밤을 밝히는 사람-- 이 단순한 풍경으로 그리고 이렇게 사실적인 화법으로 이렇게 놀랍게 인간실존을 그려내는 작가가 몇명이나 있을까?  그런 의미로 호퍼는 정말 리얼리스트인 거 같다.

----
Robert Banksy (www.banksy.co.uk)


스스로를 quality vandal(질높은 예술 파괴자)라고 자청하는 영국의 그래피티화가 뱅크시가 패로디한 호퍼의 그림.

하하..  통쾌한 웃음이 터진다.  호퍼의 그림이 잘못되어서 그 패로디가 통쾌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호퍼의 그림이 주는 메시지와 느낌에 대한, 그 고통에 대한 카타르시스적 웃음인 거다.
(뉴니언 잭의 정치적 상징성은 별개로 치기로 한다.)
-------------
이건 심슨즈에서 패로디된 호퍼

 

 

 

why do we have t
o keep stoning and being stoned?



왜 우리는 서로를 향해 돌을 던져야 하나요?  끝없이 끝없이
왜 우리는 거울을 향해 돌을 던지고 있나요?  끝없이 끝없이

by Buchholz( here only for therapeutic and/or educational purposes)


새들이 모두 흘러갔나요  밤이 됐나요  아침이 됐나요  새들이 울고 있는 듯한데 아침 새들인가요  그들이 인사하러 왔나요  그래도 이제는 소용없습니다  내게 소중했던 시간들은 사라져버렸습니다  이제 나는 잠을 자야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최하림 - "이제 나는 잠을 자야겠습니다 " 중에서 )

 

 

edvard much1900




















"내게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일종의 병이었고. 도취였다.
그 병은 벗어나고 싶지 않은 병이었으며 그 도취는 내게 필요한 도취였다" (munch)

나의 병은 필요한 것일까?
왜 나는 나약하며 도움을 필요로 한다고 말하면 안된단 말입니까?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를 편히 쉬게 하리라.
보라. 내가 문밖에서 기다리노니
김환기-봄의 소리(치료/교육목적으로 이곳에서만 사용되었음)

나는 간혹, 수화 김환기의 별처럼 많은 점을 찍고 선을 긋는 행위가 별이 가득찬 어느 우주공간을 끝도 없이 유영하면서 지금도 반복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생전에 수화는 말했었다. "나는 외롭지 않다. 나는 별들과 함께 있기에…." 그의 이 말은 지금도 아직 유효한 것 같은 생각이 문득 드는 것이다. (이흥우 1993)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꿈을 담아내기 위해 무수히 많은 점을 찍어 나간 추상화가 김환기(1913∼1974년).
김환기가 뉴욕의 화실에서 끝도 없이 찍어간 점과 선 (쿠르티옹이 '청색의 소용돌이요, 입자들의 교향악'이라고도 말한), 무한히 반복되며 찍어지는 동양적인 필촉감의 점들과 그어지는 선, 그것은 모든 현상(萬象)이 하나의 유전인자 같은 최소한의 단위나, 궁극의 원리(동양의 性理學의 경우 道, 또는 理氣)로 환원된 것 같은 점과 혹은 선들이다. 그것을 그림이 그려가는 '광대한 파동으로써 전달되는 생명의 전율'이며, 그 생명은 '물과 불이 형제와도 같고 땅과 하늘이 양극의 힘으로 혼합되어 있던 때인 태초의 시간에 최초로 형성된 깊은 곳에서 감지한 생명'(장자크 레베크)이라고, 장자의 혼돈과 같은 말을 한 유럽 사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