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읽는 풍경'에 해당되는 글 66건
동박새 - 정호승 | 2020.01.07
안개비 내리는 날의 풍경 | 2019.12.15 나를 오른다 - 최영규 | 2019.10.23 배터리 파크의 동상, 이민자들 그리고 나그네 | 2019.09.10 진정한 여행 2 | 2019.08.19 NYPL -book cover design | 2019.07.23 상처 - 마종기 | 2019.06.03 J. J. Shannon- Jungle Tales | 2019.05.20 강- 안도현 1 | 2019.05.14 나는 타오른다 - 김승희 | 2018.07.13 Whitefield with a reaper and the Sun-Gogh 4 | 2017.10.02 Kahlo - tu vas? 1 | 2016.07.14 인사동에서 만난 또 하나의 감동 | 2015.08.09 고요의 울림 1 | 2014.11.29 Andante-Vivaldi, Yoyo Ma & Bobby McFerrin 1 | 2014.07.20 pursuing the dream | 2014.04.28 Vincent Van Gogh-Orchard in Bloom with Poplars 1 | 2013.04.13 음악과 함께 보는 호퍼 | 2012.08.19 바람이 붑니다 | 2012.06.30 웃음.. 4 | 2012.04.12 어느 날 네 가슴에 핀 동백꽃을 보고 평생 동안 날아가 나는 울었다
---------- 한 사나이 으스러지도록 한 사나이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photos by bhlee @NYC121419
한겨울 공원
떠나간 잎들과 ---------------------------
이해하려 하기 보다 함께 느끼며 살고 싶었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나를 오른다 - 최영규
매일같이 내 속에는 자꾸 산이 생긴다 ------------
photos by bhlee(c)2019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The Immigrants(1973) by Luis Sanguino in Battery Park, New York (뉴욕 배터리 파크의 동상, 「이민자들」)
photos of the scuplture are from http://www.bigapplesecrets.com (all rights reserved) ---------------------------------------------------------------------------
내가 49살 때 배터리파크에서 처음 만났던 동상. 그 생생한 표정들 앞에서 가슴이 먹먹하고 마음이 무척 복잡했었다.
이 동상에는 유태인, 자유의 몸이 된 아프리카 노예, 신부, 노동자 등 다양한 인종과 민족, 연령의 이민자들이 등장한다. 이들의 생생한 표정과 몸짓은 이민자들의 고난의 여정과 함께 ‘뿌리를 잃어버린 인간’의 고통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이 그 망망대해를 거쳐 찾아온 땅.... 수많은 희생을 감수하고 멀미와 병과, 고난을, 때로는 사랑하는 가족의 상실을 겪으며, 그리고 정신적 회의와 불안을 견디며 드디어 발을 디딘 땅. 이미 떠난 그 여정에서 그들은 아무리 회의와 후회에 사로잡히거나 고통스러워도 돌아갈 수도 없었으리라. 그냥 도착할 때까지 견디는 수밖에. 희망과 꿈이라는 그 북극성 같은 먼빛을 바라보며.... 그리고 마침내 도착한 그 땅에 발을 무사히 디딘 그들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이 동상은 드디어 이제 살았다는 그 감격스럽고도 감사하고도 서럽고도 불안한.. 복잡한 그들의 심정을 생생하게 빚어내고 있다.
그 고통스런 항해의 끝인 땅에서 다시 입국심사가 시작이 되었다. 이곳의 캐슬 가든(Castle Garden)은 이민자들이 입국심사를 거치던 곳으로 1885년에서 1890년까지 8백만명의 이민자를 심사했다고 되어있다.
입국이 거부되고, 꿈의 종착역에서 다시 쫓겨난 그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이 꿈의 땅에 자리를 잡은 사람들은 또 다시 시작된 고난도 이겨냈겠지. 자유를 찾고, 기회를 찾고, 자녀들에게 새 삶을 주었겠지.... 그렇게 해서 그들은 그렇게 되고 싶었던 신분을 얻고, 자신의 참 정체성을 찾았을까?
“Dear friends, I urge you, as foreigners and exiles,....”라는 베드로의 말처럼 우리는 영원한 귀향길에 있는 이방인이고 나그네 된 존재이다. 우리가 어딘가를 향해 망망대해를 견디는 이유는 언젠가 그 곳--꿈의 땅에 도착하리라는 희망 때문이리다. 다른 모든 것 다 포기하고 하나에 열정과 집념을 가지고 달려가는 많은 세상 사람들. 그들은 그 땅에 도착해서 꿈을 찾을까? 그 꿈을 이룰까?
열심히 살아 온 나는 지금 누구이며 어디에 있는 것일까?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나의 진정한 고향은 어디일까? 이제는 또 다시 멈춰서 가슴에 물어야할 때다. 더 늦기 전에.
“그가 떠나온 고향을 그리워하였더라면 돌아갈 수 있었으려니와 [돌아가지 않은 이유는] 이제는 더 나은 본향을 사모함이라.”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The real voyage of discovery consists not in seeking new landscapes, but in having new eyes.” --Marcel Proust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진정한 여행은 새로운 경치를 찾아가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을 갖는데 있다. - 마르셀 푸르스트
photos by bhlee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NY Public Library에서 >
북커버 디자인이 예술인 책들... 특히 이번에 발견한 팽귄 디럭스판은 너무 이뻐서 다 사고 싶었다. 다들 인터넷으로 책을 보니까 종이책은 소장하고 싶을 만큼 멋지거나 예뻐야할거라 생각했는데 이런 책이면 사서 종이책으로 읽고 싶겠다. 종이도 정말가볍고 좋았다. 눈이 휘둥글@-@)!
유명한 패션 일러스트레이터인 Ruben Toledo의 북커버 작품. 샬르롯 브론테의 [제인에어] 에밀리 브론테의 [푹풍의 언덕]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 패션 일러스트레이터인 톨레도의 부인 이자벨 톨레도는 패션디자이너다. 그녀의 옷을 오바마 부인이 취임식에 입었었다. 톨레도의 이 북커버 디자인을 사람들은 "예술과 패션이 문학과 맺어진 결혼"(marriage of art and fashion to literature)이라고 극찬했다.
--- 참 마음 아프게 읽었던 책, 죤스타인백 [생쥐와 인간(Of Mice and Men)]의 표지도 나름 설득력있다. [The Winter of Our Discontent 불만의 겨울], [에덴의 동쪽], [진주], [분노의 포도] ...... [불만의 겨울]이라는 제목은 셰익스피어의 [리차드 3세]에 나오는 리차드 3세의 대사이다. 고등학교 때 [불만의 겨울]을 읽고 참 감동받았었다. 처음 존스타인 백을 처음 알았을 때는 초등학교 때였다. 이름조차 멋있다고 생각했었다. 5학년 때인가 [Red Ponny/붉은 망아지]라는 소설을 읽고서였다. (알고 보니 첫 에피소드였다.) 너무 슬퍼서 울었었던 기억이 난다. 이 나이에 예전에 가슴에 깊은 여운을 주었던 책들을 다시 읽으면 어떤 또 다른 의미가 내 마음 속에 다가올지 궁금하다. 그게 문학의 또 다른 매력이 아닌가.. 읽는 사람에 의해서 새로운 의미가 발견되고 창조되는...
Jane Eyre(제인 에어): Penguin Classics Deluxe Edition.
폭풍의 언덕(Wuthering Heights)
Pride and Prejudice(오만과 편견) Of Mice and Men(생쥐와 인간) --------------
072514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오래 먼 숲을 헤쳐 온 피곤한 - 마종기, "상처" 중에서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오늘 정말 우연히 다른 자료를 찾다가 10년 전 기록해 둔 (물론 비공개로) 이 이야기를 읽게 되었다. 이제야 기운이 나서 오늘까지 준다고 약속한 일을 하려던 참이었다.
from JSL 엄마가 책을 읽어주고 두 딸이 듣고 있는. 엄마는 얼굴이 보이지 않은채 책에 몰두해 있고, -마치 거울을 보는 것 처럼 그 책은 그녀의 얼굴이 될까요, 선생님이 달아 논 그림 같진 않지만 얼굴이 보지 않는 - 첫째 딸인 이제 곧 사춘기에 들어갈 소녀는 엄마를 정말 사랑스러우면서도 거리를 두고 싶은 맘이 담긴 눈으로 쳐다보고 있더군요. 재미있던 것은 이제 초등학교에 들어갈까 말까한 막내딸인데, 엄마의 목소리엔 관심없고 그림그리는 화가를 멀뚱히 쳐다보고 있더군요. 그 시선의 다름들. 그리고 마지막 시선이 화가, 즉 창조자를 쳐다보며, 다시 나, 관객을 쳐다보는. 그 눈들이 다 아름답고 슬프더라구요. 혹 선생님은 그 그림을 알까하여 적어봅니다.
8/8/08
JS에게 By James Jebusa Shannon - This file was donated to Wikimedia Commons as part of a project b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See the Image and Data Resources Open Access Policy, CC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57366376
왠지 쓸쓸한 가족 같다. 각자 옹기종기 모여 있는데 소통하고 있지 않는 가족. 엄마는 세상이 정글 같다는 말을 해주고 싶은 것이었나? 살아가야할 세상을 알려주고 싶어서일까? 왜 아이들은 관심이 없는 것일까? 아직은 철몰라 계속 동화 같은 꿈을 꾸고 싶기에? 아니면 온갖 미지의 식물과 동물이 가득한 정글 이야기일까? 미지의 세계에 대한 모험과 꿈을 말해주는?
-----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by Rene Magritte(used here for educational purposes only)
너에게 가려고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Vincent van Gogh- wheatfield with reaper and sun(1889)
--------------------------------------
언제 저를 추수하시려고 이렇게 쭉정이 같은 저를 아직도 저 뙤약볕 아래 두고 계십니까? 언제까지...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수수께끼 같은 말만큼이나 이 그림은 칼로가 가장 허무러질 듯 연약함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녀의 작은 머리와 부서진 날개---불타고 있는 사철 푸른 나무가지 한가운데 헐벗은 모습으로 서서 그녀는 이제는 그녀의 시간이 되었나 생각하고 있다. 그녀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떠나려고? 아니, 부서진 날개야. 그녀가 대답하고 있다.
--------------- used her only for therapeutic and/or educational purposes from The Diary of Frida Kahlo: An Intimate Self Portrait (All Rights Reseved) used here only for therapeutic and/or educational puposes. (NY Union Square 근처 Strand Book Store에서 발견하고 너무나 좋아서 구입한 프리다 칼로의 그림 저널)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지난 주 인사동에 모였다가 인사동 가나아트센터에서 하모니즘으로 유명한 김흥수 화백(1919-2014)의 작고 1주기전을 만난 건 행운이었다. 그의 강렬한 색채에 매료되고 말았다. 무엇보다 수십점에 이르는 대작들을 맘 껏 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 ------------------------
김흥수(1919-2014)의 작품 세계는 구상과 추상의 이질적인 요소 간 조화를 꾀하는 ‘하모니즘’으로 통한다. 일제강점기인 1937년, 17세의 나이로 제16회 조선미전전람회에 입선해 실력을 인정받았던 그는 1955년 프랑스 유학을 통해 야수파, 입체파 등을 섭렵하며 다채로운 색채의 쓰임을 터득한다. 1967년부터 12년간 미국에 체류하며 교직과 창작활동을 병행했던 그는 귀국할 무렵인 1977년 하모니즘을 선언하며 예술가로서의 전환점을 맞는다. 하모니즘은 음양의 조화를 중시하는 동양사상이 모태다. 구상과 추상이 공존할 때, 즉 서로 상반되는 극과 극이 하나의 세계로 어우러질 때 화면이 비로소 온전해진다는 미술관을 담고 있다. 즉 화면에 대상은 객관적으로 재현하고, 정신은 추상으로써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그는 생전에 43세의 나이차를 극복한 사제지간의 사랑과 결혼으로 작품 외적으로도 큰 관심을 받았다. 30년 세월을 함께 한 아내는 1년 6개월 먼저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국민일보 손영옥기자 글과 네이버 뉴스 정순민의 글을 참고하여 작성함) ------------------
김흥수는 88올림픽 때 초기 하모니즘 대표작품 16점이 당시 표구상의 화재로 인해 모두 불타버리는 사건을 겪었었다. 그 충격은 우리들은 짐작할 수도 없을 것이다. 그는 그 일을 떠올리면 팔과 다리가 잘려 나간 것 같아 그 후로도 계속 악몽에 시달린다고 할 정도였다. (그 당시 우리에겐 김흥수의 그림이 한 점 있었고 김흥수화백이 자신의 그림을 찾는다는 말이 있었다. 어느날 슬그머니 그 그림은 없어졌다.... ) 전해지는 말로는 전화로 소식을 먼저 전해들었던 김흥수에게 표구상 사장님이 집문서를 들고 찾아갔으나 김 화백은 아파트가 떠나가라 “으으음!” 하는 동물울음 같은 괴성을 토해내고 그뿐이었다고 한다.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듯 “할 수 없지. 다시 그려야지” 하면서 찻잔을 드시더란다. 물론 손해배상 같은 말은 입밖에도 내지 않았다고 한다. 마음에 계속 남아있는 그림들 중 몇 점만 찾아서 올려본다.
김흥수- 허세
음과 양
망부가
미의 심판
전쟁과 평화
올 여름엔 뉴욕을 못가서 허전했는데 김흥수전과 디올전으로 조금이나마 위안을..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Die Sprache spricht als das Geläut der Stille
photo by bhlee
The language speaks as the ring of the silence.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Here only for therapeutic and/or educational purposes.
연주도 좋지만 사진이 가슴을 쾅 울려서 그림풍경에 넣어본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Pursuing the Dream by Miquel Blay
꿈을 쫓아서.... 지난 여름 바르셀로나에 갔을 때 카탈루니아 미술관(Museu Nacional d'Art de Catalunya)에서 만났던 조각품.
이 작가가 바라 본 꿈을 쫓는 일은 참 처절하다. 그가 생각한 꿈은 무엇이었을까? 그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here only for therapeutic purpose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Edward Hopper. 현대인의 고독을 이 사람처럼 리얼하게 표현한 사람도 드물것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 중 한 사람. 베니 굿맨의 연주와 함께.... here only for therapeutic purpose
그림은 내면 삶의 외적 표현이다...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면 그림은 필요없을 것이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E. Hopper (here only for therapeutic purpose) 바람이 붑니다. 당신을 기억하는 내 고뇌의 분량만큼 보이지 않게 보이지 않게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거짓말 , 당신이 내게 하는 가장 마음 아픈 거짓말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