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bhlee  



저버린 일상(日常)
으슥한 평면에
가늘고 차운 것이 비처럼 내린다.
나직한 구름자리
타지 않는 일모(日暮)......
텅 빈 내 꿈의 뒤란에
시든 잡초 적시며 비는 내린다.
지금은 누구나
가진 것 하나하나 내놓아야 할 때
풍경은 정좌(正座)하고
산은 멀리 물러앉아 우는데
나를 에워싼 적막강산
그저 이렇게 저문다.
살고 싶어라.


[이형기-'비' 일부]

 

170811

왜 그립지 않겠습니까 - 김현태

 

왜 그립지 않겠습니까

어찌 그럴 수 있겠습니까

낙엽 하나 뒤척거려도 내 가슴 흔들리는데

귓가에 바람 한 점 스쳐도

내 청춘 이리도 쓰리고 아린데 

 

왜 눈물겹지 않겠습니까

사람과 사람은 만나야 한다기에

그저 한번 훔쳐본 것뿐인데 

 

하루에도 몇 번이고

매스꺼운 너울 같은 그리움 

 

왜 보고 싶은 날이 없겠습니까

하루의 해를 전봇대에 걸쳐놓고

막차에 몸을 실을 때면

어김없이 창가에 그대가 안녕 하는데

문이 열릴 때마다

내 마음의 편린들은 그 틈 사이에서

오도 가도 못하는데 

 

왜 서러운 날이 없겠습니까

그립다는 말

사람이 그립다는 말

그 말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는

저 달빛은 오늘도 말이 없습니다

 

사랑한다면, 진정 사랑한다면

그저 멀리서 바라보며

두고두고 오래도록 그리워해야 한다는 말,

어찌 말처럼 쉽겠습니까 

 

달빛은 점점 해를 갉아먹고

사랑은 짧고 기다림은 길어지거늘 

 

왜 그립지 않겠습니까

왜 당신이 그립지 않겠습니까

비라도 오는 날에는

기댈 벽조차 그리웠습니다

 

--------------

비라도 오는 날에는 기댈 벽조차 그리운데 
왜 당신이 그립지 않겠습니까 

문 열어라 - 허형만

  산 설고 물설고
  낯도 선 땅에
  아버지 모셔드리고
  떠나온 날 밤

   문 열어라

  잠결에 후다닥 뛰쳐나가
  잠긴 문 열어젖히니
  찬바람 온몸을 때려
  꼬박 뜬눈으로 날을 샌 후

   문 열어라

  아버지 목소리 들릴 때마다
  세상을 향한
  눈의 문을 열게 되었고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고

  그러나 나도 모르게
  그 문 다시 닫혀졌는지
  어젯밤에도

   문 열어라

   - [비 잠시 그친 뒤] 문학과지성사 1999

명사산 추억 - 나태주

헛소리 하지 말아라
누가 뭐래도 인생은 허무한 것이다
먼지 날리는 이 모래도 한때는 바위였고
새하얀 조그만 뼈 조각 하나도 한때는
용사의 어깨였으며 미인의 얼굴이었다

두 번 말하지 말아라
아무리 우겨도 인생은 고해 그것이다
즐거울 생각 아예 하지 말고
좋은 일 너무 많이 꿈꾸지 말아라
해 으스름 녘 모래 능선을 타고 넘어가는
어미 낙타의 서러운 울음소리를 들어보아라

하지만 어디선가 또다시 바람이 인다
높은 가지 나무에 모래바람 소리가 간다
가슴이 따라서 두근거려진다
그렇다면 누군가 두고 온 한 사람이 보고 싶은 거다
또다시 누군가를 다시 사랑하고 싶어
마음이 안달해서 그러는 것이다

꿈꾸라 그리워하라 깊이, 오래 사랑하라
우리가 잠들고 쉬고 잠시 즐거운 것도
다시금 고통을 당하기 위해서이고
고통의 바다 세상 속으로 돌아가기 위함이다
그리하여 또다시 새롭게 꿈꾸고 그리워하고
깊이, 오래 사랑하기 위함이다.


빈 곳 - 배한봉

  벽 틈에 나무가 자라고 있다. 풀꽃도 피어 있다.
  틈이 생명 줄이다.
  틈이 생명을 낳고 생명을 기른다.
  틈이 생긴 구석.
  사람들은 그걸 보이지 않으려 안간힘 쓴다.
  하지만 그것은 누군가에게 팔을 벌리는 것.
  언제든 안을 준비 돼 있다고
  자기 가슴 한쪽을 비워놓은 것.
  틈은 아름다운 허점.
  틈을 가진 사람만이 사랑을 낳고 사랑을 기른다.
  꽃이 피는 곳.
  빈곳이 걸어 나온다.
  상처의 자리. 상처에 살이 차오른 자리.
  헤아릴 수 없는 쓸쓸함 오래 응시하던 눈빛이 자라는 곳.


흙으로 그릇을 빚는데

그 안에 빈자리가 있어

그릇으로 쓰네

- 노자 [도덕경] 11장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연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

그러므로 있음은 이로움을 위한 것이고 

없음은 쓸모를 위한 것이다.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고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

조용히 하나씩 비워야하는 시간

비움도 "빚는 일"임을 새삼 느끼는 요즘이다. 

  

생각이 사람을 만든다 - 천양희

이 생각 저 생각 하다
어떤 날은
생각이 생각의 꼬리를 물고
막무가내 올라간다
고비를 지나 비탈을 지나
상상봉에 다다르면
생각마다 다른 봉우리들 뭉클 솟아오른다
굽은 능선 위로
생각의 실마리들 날아다닌다
뭐였더라, 뭐였더라
스치고 지나가는 생각의 바람소리
생각(生覺)한다는 건
生을 깨닫는다는 것
생각하면 할수록 生은 오리무중이니
생각이 깊을수록 生은 첩첩산중이니
생각대로 쉬운 일은 세상에 없어
생각을 버려야 살 것 같은 날은
마음이 종일 벼랑으로 몰린다
생각을 버리면 안된다는 생각
생각만 하고 살 수 없다는 생각
생각 때문에 밤새우고 생각 때문에 날이 밝는다
생각이 생각을 놓아주지 않는다
지독한 생각이 사람을 만든다

 

------------

지독한 생각이 사람을 만든다!!!! 

산 위에서- 이해인

그 누구를 용서 할 수 없는 마음이 들 때
그 마음을 묻으려고 산에 오른다.

산의 참 이야기는 산만이 알고
나의 참 이야기는 나만이 아는 것
세상에 사는 동안 다는 말 못할 일들을
사람은 저마다의 가슴 속에 품고 산다.


그 누구도 추측만으로
그 진실을 밝혀낼 수 없다


꼭 침묵해야 할 때 침묵하기 어려워
산에 오르면
산은 침묵으로 튼튼해진
그의  두 팔을 벌려 나를 안아준다.


좀더 참을성을 키우라고
내 어깨를 두드린다.

길가에 버려진 돌 -  이어령

 

길가에 버려진 돌

잊혀진 돌

비가 오면 풀보다 먼저 젖는 돌

서리가 내리면 강물보다 먼저 어는 돌

 

바람 부는 날에는 풀도 일어서 외치지만

나는 길가에 버려진 돌

조용히 눈 감고 입 다문 돌

 

가끔 나그네의 발부리에 채여

노여움과 아픔을 주는 돌

걸림돌

 

그러나 어느날 나는 보았네

먼 곳에서 온 길손이 지나다 걸음을 멈추고

여기 귓돌이 있다 하셨네

마음이 가난한 자들을 위해 집을 지을

귀한 귓돌이 여기 있다 하셨네

 

그 길손이 지나고 난 뒤부터

나는 일어섰네

입 열고 일어선 돌이 되었네

 

아침 해가 뜰 때

제일 먼저 번쩍이는

일어서 외치는 돌이 되었네

비가 오면 -이상희

  비가 오면
  온몸을 흔드는 나무가 있고
  아, 아, 소리치는 나무가 있고

  이파리마다 빗방울을 퉁기는 나무가 있고
  다른 나무가 퉁긴 빗방울에
  비로소 젖는 나무가 있고

  비가 오면
  매처럼 맞는 나무가 있고
  죄를 씻는 나무가 있고

  그저 우산으로 가리고 마는
  사람이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