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8월 8주간 5개의 병원에서 암환자, 장기요양환자(뇌변병, 지체부자유, 모야모야병, 등)들 총 26명, 그리고 자원봉사자들 12명을 만나 [시치료 프로그램: 내마음을 만지다]를 진행하였다.
감동적인 순간들이 많았다. 특히 회기가 끝날 무렵 병원과 주최측에서 환자들의 변화된 모습과 밝아진 표정, 우울하게 말이 없던 분들이 밝게 웃으면서 이런 저런 말을 활발히 한다던가 하는 모습을 보고 믿기지 않는다고 말씀하셨다. 처음엔 글쓰기문학치료(시치료)가 무슨 효과가 있을까 반신반의 했다고.....
이 프로그램은 몇년 전 내가 진행한 문화예술진흥위원회(문광부) 주관 독거노인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감사나왔던 분들이 적극 추천하여서 진행하게 된 것이었다. 방학은 쉬지 못한 채 아쉽게 지나갔지만 마음만은 뿌듯하다. 부디 그분들이 계속 저널을 쓰면서 지금의 건강해진 마음이 더욱 강건해지고 절망이 희망으로 바뀌어지기를 간절히 기도한다.
사진은 참여 환자 분 26명 중 몇분과 찍은 것이다. 나이 많은신 붉은 조끼 입으신 분은 80세 되신 멋쟁이 신사분으로 외래환자이신데 병원에 붙은 광고문을 보고 찾아오신분이다. 끝나고 나서 의학도서관 선생님께 이 프로그램 계속되게 해달라고 신신당부를 하셨다.^^ 사진 찍을 때 그자리에 없었던 환자 분들이 많은데 내 마음 속에 선명히 그 아름답고 용감한 얼굴들이 찍혀 잊히지 않고 기억될 것이다.
마지막 사진은 놀랍게도 일생의 큰 변화를 체험하신 한 자원봉사 참여자님이 정말 감사한 맘으로 일주일만에 한땀한땀(^^) 손으로 누벼서 만든 가방과 지갑을 선물로 주셔서 기뻐하는 장면이다. 감동의 순간이었지만 가방보다 더 큰 선물은 그분의 문제해결이었다.
(사진은 개인신상보호을 위해 공개 하지 않았습니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Edward Hopper. 현대인의 고독을 이 사람처럼 리얼하게 표현한 사람도 드물것이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 중 한 사람. 베니 굿맨의 연주와 함께.... here only for therapeutic purpose
그림은 내면 삶의 외적 표현이다...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면 그림은 필요없을 것이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일이 바빴던 두 달간의 방학기간.... 내게 휴식은 없었다. 여러차례의 두통과, 혈뇨와.... 좀 지쳤었다. 그리고 급한 일로 떠났던 뉴욕에서 정신없이 보낸 보름간의 일정도 일로 뮤지엄 한 번 가보지 못했다.
유일한 휴가는 내 소중한 친구 S가 부안에 있는자신의 팬션으로 나와 친구를 초대해서 극진히 대접해준 1박2일간의 멋진 휴식. 정말 멋진 팬션과 주변의 드라이브코스와 채석강등 관광코스.... 꼭 추천하고 싶다.
그리고 학교에서 간 수련회. 여러 특강들. 그리고 이날은 연수과정 중 오후에 등산을 하고 잠시 계곡에서 발을 담갔다. 땀으로 목욕을 한 채....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카톨릭대 인천성모병원에서 자원봉사자들과 함께하는 시치료 (2012. 7~8월)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서대문 도서관 추천 치유적 책읽기 가족일반, 개인성장, 건강, 내적치유, 노년, 마음의 평화, 배려, 복합가정, 부모, 부부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E. Hopper (here only for therapeutic purpose) 바람이 붑니다. 당신을 기억하는 내 고뇌의 분량만큼 보이지 않게 보이지 않게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
″시(詩)로 환자를 치료합니다″ | |
부민서울병원, 환자를 위한 '문학치유프로그램' 매주 운영 기사입력 [2012-06-22 17:26] |
부산/아시아투데이 김옥빈 기자 = 최근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치료 등 예술을 통한 통합적 치료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부민병원(서울)은 오는 27일부터 매주 수요일. 환자들의 정서 안정과 치료를 돕기 위해 ‘내 마음을 만지다’ 저자로 유명한 이봉희 교수 (미국공인문학치료사, 나사렛대학교 교수)를 초청, ‘문학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문학 치유 프로그램’은 환자들이 직접 시를 읽고 글을 쓰며 자신의 감정 표현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통합적 치료프로그램으로서 ‘치유의 시낭송’을 통해 희망과 용기를 전할 예정이다.
부민병원 정흥태 이사장은 “시 쓰기, 시 낭송 등의 예술 치료는 인체의 면역세포 증가와 육체적 정신적 건강회복에 도움이 된다”며 “징검다리 도서관 개관과 함께 시와 문학을 이용한 종합예술치료 프로그램으로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자 마련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징검다리 도서관’은 사단법인 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가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교보생명 · 문화관광부의 후원으로 전국 10개 병원과 함께 하고 있으며, 부민병원(서울)은 관절⋅척추환자의 빠른 쾌유를 위해 도서관 운영과 도서 기부 캠페인, 문화예술 공연 등 건강한 치유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병원에 입원중인 최미란(42세)씨는 “입원중 책을 통한 문화생활로 정서적인 안정을 가질 수 있다”며 “지역종합병원에 도서관이 운영돼 매우 유익한 것 같다”고 말했다.
8주간 계속 되는 이 프로그램은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과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정이 참여하게 된다.
서울부민병원은 이날 강서구다문화가정지원센터와 건강가정지원 센터와의 M.O.U를 체결하고, 적절한 진료혜택을 받지 못했던 강서구 내 다문화 가족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무료검진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응급상황 발생 시 초기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김옥빈 기자 obkim5153@naver.com>
{ⓒ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658648
-------------------------------------
아주경제
부민서울병원, 환자를 위한 '문학치유프로그램' 매주 운영 | |
기사입력 2012-06-22 14:46 | 기사수정 2012-06-22 17:25 |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부민병원이 오는 27일부터 매주 수요일에 환자들의 정서 안정과 치료를 돕기 위해 ‘내 마음을 만지다’ 저자로 유명한 이봉희 교수 (미국공인문학치료사, 나사렛대학교 교수)를 초청, '문학치유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했다. '문학 치유 프로그램'은 환자들이 직접 시를 읽고 글을 쓰며 자신의 감정 표현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통합적 치료프로그램으로서 “치유의 시낭송”을 통해 희망과 용기를 전할 예정이다. 정흥태 부민병원 이사장은 “시 쓰기, 시 낭송 등의 예술 치료는 인체의 면역세포 증가와 육체적 정신적 건강회복에 도움이 된다”며 “징검다리 도서관 개관과 함께 시와 문학을 이용한 종합예술치료 프로그램으로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자 마련했다”고 말했다. |
권석림 기자 - ksrkwon@ajnews.co.kr |
[© '한·중·영·일 4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http://www.ajnews.co.kr/ajnews/view.jsp?newsId=20120622000263 |
[메디팜스 투데이]
부민서울병원, '문학치유프로그램' 매주 운영 | ||||
이봉희 교수 초청, '치유의 시낭송' | ||||
| ||||
서울 부민병원은 오는 27일부터 매주 수요일. 환자들의 정서 안정과 치료를 돕기 위해 ‘내 마음을 만지다’ 저자로 유명한 이봉희 교수(미국공인문학치료사, 나사렛대학교 교수)를 초청, '문학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문학 치유 프로그램'은 환자들이 직접 시를 읽고 글을 쓰며 자신의 감정 표현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통합적 치료프로그램으로서 '치유의 시낭송'을 통해 희망과 용기를 전할 예정이다. 부민병원 정흥태 이사장은 “시 쓰기, 시 낭송 등의 예술 치료는 인체의 면역세포 증가와 육체적 정신적 건강회복에 도움이 된다”며 “징검다리 도서관 개관과 함께 시와 문학을 이용한 종합예술치료 프로그램으로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자 마련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
--------
이번 여름엔 방학이 없다.
서울 부민병원을 비롯해서 인천 성모병원, 적십자 병원 등 5개의 병원에서 시치료(문학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했다.
글쓰기와 문학의 힘을 나누기 위해서 방학을 반납하는 힘든 결단을 내렸다.
주님께서 함께해주셔서 참여하는 모든 분들에게 치유의 시간이 되기를 간절히 기도한다.
알리고 싶은 것이 아니었는데 이미 보도가 된 사실을 알게 되어서 공개한다.
--------------
칭구 김태연이와 서울미대 동창들의 "서울-봄" 전시회에서 칭구들과 함께- 카페 갤러리 봄에서
아쉽게도 내가 그날 사진을 찍지 않아서 이번 전시회 태연이 그림이 없다.
그의 그림의 주제는 늘 연꽃이다.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꽃.
그녀의 연꽃은 항상 열정적이고 생동감있고 밝고 화려하다.
늘 같은 주제이지만 매번 새롭게 피어나는 그녀의 연꽃을 보면서 생각한다.
그건 단순히 꽃이 아니라 그녀의 이야기라고, 연꽃이 그녀라고.
매번 다른 저 색감의 꽃을 피워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여러 색을 겹겹히 섞어야했을까?
얼마나 여러겹의 이야기를 담은 꽃이 또 이번 화폭에 피어난 것일까 하고.
시시각각 변하는 연꽃을 주제로 한 그의 그림에는 늘 동반자가 있다. 새와, 물고기.
동반자.. 얼마나 다정한 이름일까? (그녀의 남편은 박항률화백이시다)
맨왼쪽이 김태연화백(사진속 친구 중에 2명의 화가가 더 있다.)
이젠 안타깝게 고인이 된 그녀가 그린 그림을 하나 추가로 올려본다.
겨울에 [독자와의 만남] 강연에서 만난 한 분의 간곡한 요청으로 가게 된 특강.
수용미학연구회(방통대 국문과) 80명 정도 모임. 모두 순수한 열정으로 가득하신 분들임을 느낄 수 있었다.
시간관계상 뒷부분 가장 중요한 부분을 강의하지 못해서 마음이 불편하다.
[기계적인 문제로 40분 뒤에 시작하였기에 시간이 부족했고, 나도 너무나 피곤했지만
그보다는 4시부터 7시 반까지 견디어 준 분들(나이 많은 분들도 많았는데)이 안타까워서 더 이상 강의할 수가 없었다.]
(90508)
| 카테고리 _category |
| 태그리스트 _tag list |
| 최근글목록 _recent articles |
| 최근덧글 _recent comments |
| 최근관련글 _recent trackbacks |
| 블로그달력 _calendar |
| 예전글목록 _archive |
| 다른사이트 _link site |
| 블로그정보 _blog inf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