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oto by bhlee [더스트 인 더 윈드, 캔사스-최승자]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화요일 전북대 한중문화사업단 초청 특강에 초대되어 갔었다. 중문과에 우리나라에서 정말 드믈게 서예과목이 있었다. 교수는 유명한 서예가 김병기 교수. 정말 많은 일을 하고 계신 교수님이다. 학생들에게 서예를 시키면 아이들의 마음이 정화되고 안정되고 치유되는 것을 느끼신다고.
한옥마을(이곳은 또 언제 다시 이야기 하기로 하고)과 여기저기 차로 데리고 다니면서 자세한 설명을 해주셨다. 전주향교 마루에 앉아서는 낭낭한 목소리로 한시도 낭송해주시고..... 강암 서예관에도 가서 강암 송성용 선생의 서예를 감상했다. 교수님으로부터 한시의 의미와 작품 설명과 함께 들으니 그 분의 수묵화와 서예의 예술성을 조금이나마 더 잘 알수 있었다. 강암은 바람에 날리는 풍죽을 그린 화가로 유명하다.
그 중에 마음에 남은 작품중 하나는 수묵화와 함께 쓴 한시, 풍죽(風竹)이다. 그 한시의 해석은...
풍죽(風竹)
미풍이 불어 올때면 빙그레 웃다가 바람이 드세질때면 불평소리를 내기도 하지 아직도 악기를 다루는 명인을 만나지 못해 할일 없이 커다란 음악소리를 안으로만 감추고 있구나.
(대나무가 장차 큰 악기가 될 수 있는 재목인데 아직 명인을 만나지 못해 그 음악소리를 표현 못하고 속으로 감추고 있다는 뜻)
강암이 쓴 일지암이라는 글(서예작품)이 또 마음에 남았다. 서예작품 옆에 초의선사가 머물던 일지암 사진도 있었다. 쓸쓸한 듯 보이는 아주 작은 암자. 시승(詩僧) 초의선사가 그의 시상(詩想)에 가지는 수많으나 새가 깃드는 가지는 오직 하나로, "나는 새는 한가지의 나무에만 있어도 편안하다."는 데에서 '일지암(一枝庵)'이라는 암자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강암의 글씨에서 '암'자는 마치 지붕아래 사람이 앉아 있는 듯이 보여서 그렇게 말했더니 그런 해석을 처음 들어봤다면서 보니 정말 그렇다고 김병기 교수님이 재미있어하셨다. 또 감동적인 것은 76세인가에 8시간동안 쉬지 않고 천자문을 쓰신 작품이었다. 정말 대단한 열정과 정신력과 에너지시다. 끝까지 글자가 흩어지지도 힘이 약해지지도 않으시고 한결 같이 쓰시다니. 교수님의 설명을 다 기억 못하는 게 아쉽다.
케이티엑스 역까지 태워주시고 기차시간 기다리기 무료할까봐 친절하게 또 곁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가셨다. 김일로라는 시인의 시를 들려주셨던 게 가장 기억에 남는다. 내가 일본 하이쿠 시를 언급하자 우리나라에도 그런 비슷한 영역을 개척한 유일한 시인이 있다면서 김일로를 소개해주셨다.
꽃씨 하나 얻으려고 일 년 그 꽃 보려고 다시 일 년 (김일로)
김일로가 쓴 시 중 또 가슴을 울린 시는
저 숨결 저 몸짓 풀 한포기 돌 하나였으면 좋을 것을
이것을 김일로는 또 한시로 옮겼다는데 그게 기막혔다. 一石一草人不及
정말 감사한 마음이 가득이다. 내가 중문과 교수님들과 대학원생을 놓고 무슨 강의를 하면 좋을까 하고 고민하는 맘으로 갔는데 2시간 예정이던 것을 쉬는 시간도 없이3시간이 되도록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그리고 오히려 내가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느끼고 와서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게 이런 건가보다 싶다. 들고 가기 무겁다고 교수님께서 책과 도록 등을 보내주신다고 하셨다. 그리고 오늘은 K교수님이 자신이 번역하신 중국 소설3권을 보내주셔서 참 감사히 받았다. 언젠가 다시 가고 싶다. 특히 땅거미 진 후 전주천 길도, 한옥마을도 걸어보고 구석구석 들어가보고 싶다.
--------------- "해남 두륜산 자락에 위치한 단촐한 암자 일지암은 초의 선사가 39세였던 1824년에 지어 40여 년간 기거한 한국 차 문화 중흥의 상징인 곳이다. 초의 선사는 추사 김정희, 다산 정약용 등 당대의 명사, 시인, 예인들과 폭넓게 교류하면서 이곳에서 다서(茶書)의 고전인 『동다송』을 저술하고 『다신전』을 정리했다고 한다. 『동다송』은 차의 효능과 산지에 따른 품질, 만들고 마시는 법 등을 적은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차에 관한 책이며 동다(東茶), 즉 우리나라 차에 대한 예찬을 담고 있다고 한다.(하지만 초의 선사 입적 후 일지암은 화재로 소실되었고, 현재의 일지암은 1970년대에 복원된 것이다. 차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성지와 같은 곳이다."[네이버 지식백과]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오래된 농담- 천양희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here only for therapeutic and/or educational purposes/ 음악은 이곳에서만 교육/치유적 목적으로만 사용됨.
스테판의 곡 해석을 조금이라도 더 잘 느낄 수 있게 늘 듣는 귀에 익은 유명한 곡을 그의 연주로 한 번 들어본다. 쇼팽의 녹턴 C샤프 단조 (Stefan Pi Jackiw 스테판 피 재키브는 유럽에서 '천재'라는 극찬을 받는 연주자. 피천득님의 손자이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내 몸 속에 잠든이 누구신가 - 김선우
그대가 밀어 올린 꽃줄기 끝에서 그대가 피는 것인데 왜 내가 이다지도 떨리는지
그대가 피어 그대 몸속으로 꽃별 한마리 날아든 것인데 왜 내가 이다지도 아득한지 왜 내 몸이 이리도 뜨거운지
그대가 꽃피는 것이 처음부터 내 일이었다는 듯이.
(2007)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한 영혼이 인간으로 만들어지기 전 하나님께 소원을 빌었다.
"모든 사람들이 나를 사랑하게 해주세요." "그럼 좋다. 하지만 대신 너는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래도 좋습니다."
그래서 그는 왕자로 태어났다. 빼어난 용모, 재능.. 모든이들이 다 그를 보기만 하면 사랑에 빠졌다. 모두 그를 사랑했다. 하지만 그는 아무도 사랑할 수 없었고 아무런 기쁨도 행복도 없었다. 왕자는 다시 하나님을 찾아갔다.
"저도 남을 사랑할 수 있게 해주세요." "좋습니다."
그래서 그는 거지가 되었다. 그는 누구를 보든지 다 사랑스러웠다. 하지만 그들은 아무도 그를 사랑하지 않았으며, 침뱉고 멸시하였다. 그래도 그는 행복했다. [톨스토이]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친구들과 함께 들판으로 나가서 태어날 아이의 노래가 들릴 때까지 기도와 명상을 한다. 그들은 모든 영혼은 각자 고유한 향기와 삶의 목적을 나타내는 고유의 진동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 임신한 여성이 그 노래에 조율하면, 그들은 큰 소리로 그 노래를 부른다. 그리고 나서 부족에게 돌아와서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그 노래를 가르쳐준다. 태어난 아이에게 그 아이의 노래를 불러준다. 나중에 아이가 교육을 받게 되면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그 아이의 노래를 불러준다. 아이가 성인이 될 때도 사람들이 다시 모여 함께 그 아이의 노래를 불러준다. 그 아이가 결혼할 때도 사람들은 그 노래를 듣게 된다. 그 영혼이 이 세상을 떠나게 될 때 가족과 친구들이 머리맡에 모여서 그가 태어났을 때처럼 노래를 불러 그 사람을 다음 생으로 보낸다. 한 가지 더 있다. 삶의 어느 때이건 그 사람이 죄를 지었거나 사회 규범에서 벗어난 행동을 했을 때 그를 마을 한 가운데로 불러놓고 마을 사람들이 그를 빙 둘러싼다. 그리고 나서 사람들이 그에게 그의 노래를 불러준다.
이 부족은 반사회적 행동을 교정하는 것은 처벌이 아니라, 사랑과 자신의 고유성을 기억하는 것이라고 본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노래를 알고 있으면, 다른 사람을 해치는 어떤 행동을 할 욕망과 욕구를 갖지 않는다.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교사를 위한 치유저널](K. Adams, M. Bareiro 공저/ 이봉희 역) 교사를 위한 교사를 치유하는 저널치료 책으로 혼자, 혹은 교사들끼리 함께 모여서 저널치료를 실습할 수 있는 실용서.
“사람은 누구든 일생을 통해 꼭 하고 싶은 이야기가, 그러기에 평소에는 오히려 더 가슴 깊이 묻어 두게 되는 하나의 이야기가 있게 마련이다. 어쩌면 누가 어떤 직업을 택하는 것도 바로 ‘그 이야기’를 나름대로 펼쳐 보이기 위해서가 아닌지 모르겠다.”라고 이문열 작가는 말하였다. 이 책을 통해서 교사들이 왜 자신이 교사라는 직업을 택했는지, 가르치는 일을 통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는 무엇이었는지를 찾을 수 있기를, 혹시 잊었다면 다시 상기하게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그리고 그 소중한 이야기를 통해 새 힘을 얻고 교육 현장에서 또 삶의 현장에서 학생들이 그들의 잠재된 이야기를 찾아가도록 도와주는 창의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복한 교사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역자 서문 중에서)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티처빌 교사 연수 (인문/ 자기계발)
글쓰기문학치료: 내 마음을 만지다 (직무연수)가 개설되었습니다.
교재: [내 마음을 만지다: 이봉희 교수의 문학치유 카페] [교사을 위한 치유저널] (학지사)
참고: https://www.journaltherapy.org/3652
------------------------------------------------------------------------------ 2016. 12. 22 아주경제
(C)박정수 기자
테크빌교육은 티처빌 원격교육연수원이 겨울방학을 맞아 선생님들을 위한 힐링연수 3종을 공개하고, 20% 할인 이벤트를 오는 31일까지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 2015. 2. 교사를 위한 문학치료 워크숍: [내 마음을 만지다] 집합연수가 현재 티처빌 홈페이지에서 모집 중입니다.
교사의 치유와 성장을 위한 문학치료 워크숍: [내 마음을 만지다] : http://goo.gl/mSKN1g
날짜: 3/14, 21, 28 (토요일 3회 9:45-5시) 장소: 성공을 도와주는 가게 (강남역 200m) 수강료: 59,000원
(교사들의 자율연수 시간 인정됩니다. 자세한 것은 티처빌로 문의하십시오.)
마음의 스트레스와 상처를 치유하고 싶으신 교사들 직장/학교와 가정에서의 문제로 힘드신 분 아이들의 상담에, 교실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으로 글쓰기를 활용하고 싶으신 분들 글쓰기/문학치료에 관심이 있으신 교사들 그 외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
<오래전 연수여서 잊고 있던 티처빌 글쓰기문학치료 연수..... 최근의 연수 후기 중 일부를 올려봅니다.>2017. 8
[정말 열심히 들은 연수] 연수명 작성자 내용 ---------------------------- 연수명 작성자 내용 tutor ----------------- 연수명 작성자 내용 그런데 연수를 들으니 교수님께서 일관성 있게 괜찮다. 괜찮다. 틀려도 좋다. 누구나 힘든 경우가 있다. 완벽하려고 하지 마라. '있는 너 자신을 그대로 사랑하라. '는 말씀을 해 주셔서 마음의 위로를 많이 받았습니다. '아, 내가 너무 완벽하려고 노력해서, 내면의 비판자의 말을 예민하게 받아 들여서 나를 힘들게 했구나. ' 하고 느꼈지요.. 그리고 살면서 제 감정을 너무 꽁꽁 숨기고 살았던 편인데 그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도피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심장을 때리고 머리를 울리게 하는 문구가 많았지만, 가장 와닿았던 말은 'To define is to kill' 이라는 문장이었습니다. 넌 똑똑해. 넌 잘 할거야. 넌 게을러. 넌 그게 문제야. 이렇게 아무 생각 없이 했던 말들이 그 사람을 규정 짓고 그 사람에게 족쇄를 채울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생각해 보니 저 스스로도 그런 말에 굉장히 많은 상처를 입었었지요. 아이들에게는 무의식 중에 그런 말을 하지 않는가 반성하게 되었습닌다. 저 스스로도 일기장을 정식으로 마련해서 연수에서 배운 방법으로 스트레스, 화 나는 감정을 해결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교실에서도 내면의 비판자 의인화 하기, 반박하는 글쓰기, 시 패러디 하기, 삼행시 쓰기, 빈 칸 채우기 등 배운 내용을 활용해서 아이들의 마음을 치료하려고 합니다. 저만의 무기를 가지게 된 것 같아 든든해지고 자신감이 생깁니다. 이렇게 따뜻한 연수를 제공해 주신 교수님꼐 정말 감사드립니다. 맞습니다. 선생님께서 체험하신 이 글쓰기의 치유적 힘을 학생들에게도 나눠주세요... 방과후 프로그램으로 많은 교사분들이 학생들과 새로운 관계를 체험하고 있으시답니다. 힘내세요. 선생님!! ------------------------- 연수명 작성자 내용 --------------------------- [나와 대화하는 시간들] 연수명 작성자 내용 연수명 작성자 내용 연수명 작성자 내용 대부분의 원격연수가 좀 뻔하다는 느낌이 드는게 많은게 사실이라 형식적으로 듣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수명 작성자
--------------------------- 연수명 작성자
몰랐던 시를 통해 읽으면서 마음이 편안해졌고 또 소개된 시인의 다른 시도 찾아 여행하는 즐거움도 가졌습니다. 엄마와의 관계, 가족과의 관계, 또 교사로서의 자신을 들여다보기도 의미 있었지만 또 수업 시간에, 아이들과의 대화, 상담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 연수를 들으며 메모하였고 조곤조곤 수업을 하시는 이봉희 선생님의 목소리, 숨결을 더 느끼고 싶어 선생님이 쓰신 책도 주문해 놓았습니다. 자신과의 여행을 하게 해주신 이 연수가 소중하고 고맙습니다. ------------------ 연수명 작성자
연수명 작성자 내용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photo by bhlee Concerto in G Minor for 2 Cellos, RV 531- Allegro-Largo-Allegro Performed by Yo-Yo Ma with the Amsterdam Baroque Orchestra & Ton Koopman
무너지고 부셔지고 흩어지며 절규하는 첼로의 목소리가 가슴을 흔든다. 요요마의 비발디 연주 중 이건 정말 잊지 못할 명연주다. 무너져 내리는 저 소리... 난 지금 이 음악이 필요해. 귀가 먹먹해지도록 크게... @ 이 글과 관련된 글 | 덧글 남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