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속 풍경'에 해당되는 글 73건

<길을 묻고 싶다>

하늘이
내게로 온다
여릿여릿
머얼리서 온다. (박두진)
---

하늘의 동과 서가 서로 마주하는 시간들이 있다.  서쪽엔 사그라져가는 그러나 아직도 남은 붉은 빛, 동쪽엔 냉정한 이성 혹은 엄연한 현실이 하얗게 떠올라 마주보고 있을 때가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 내가 서 있다.

가끔 가던 길 가운데 멈춰서서 또 하루가 흔적 없이 저물어가는 하늘에 대고 죄스런 맘으로 길을 묻고 싶다.

이만큼이나 멀리 왔는데 아직도...

21세기 한국시단 - 이봉희

 

[사랑] - 이봉희

 

고통이 말했다

내게 기대렴

고통이 말했다

너 혼자 살 수 없단다

고통이 말했다

내 품에 안기렴

고통이 말했다

내게 돌아와

널 사랑해

 

 

계간 『문예연구』 2010년 겨울호 발표

 

-------

 

이봉희 시인

2003 문예연구로 등단. 나사렛대학교 교수. 미국공인문학치료전문가(CPT)/공인저널치료전문가(CJT). 한국글쓰기문학치료연구소 소장(https://www.journaltherapy.org). 한국시인협회회원. 전미문학치료학회공식한국대표.

-----------------------------------------------------

 

 

나를 번역하지 말라, 악몽- 구토, 마지막 잎새. 박제 - 이봉희 / 21세기 한국시단

 

 

[나를 번역하지 말라] - 이봉희

 

나를 함부로 펼치지 말라

나를 분석하지 말라

당신의 문법으로 띄어 쓰고

쉼표를 넣고, 밑줄을 치고, 마침표를 찍지 말라

나의 말없음표를 당신의 언어로 채워 넣지 말라

아직 다 쓰이지 못한 나를

꼬리말, 머리말, 주석과 요약문을 달지 말라

나는 바벨의 언어니

당신의 언어로 이해했다 함부로 전하지 말라

당신의 진부한 해석은 오직

당신을 위한 빛나는 업적일 뿐이니

눈물 한 방울 나눈 적 없는

나의 옷을 입어본 적 없는

번쩍이는 당신의 언어로

나를 목 메달아

덜렁 덜렁 간판으로 내걸지 말라

나는 강물처럼 흐르는 노래이니

나를 움켜쥐지 말라

나는 당신과 다른 언어이니

나를 함부로 번역하지 말라

 

10회 전국계간문예지 사화집, 2008 중에서

 

 

[악몽-구토] - 이봉희

 

구토증에시달린다.모든소리와활자가허기지고목말라죽어가는귀에서목에서코에서눈에서가슴에서출혈을일으키며도로토해져나온다.삼킬수가없다.화려하고끈적이는플라스틱언어들이신기루처럼과일쟁반에탐스럽게올려져나오고알수없는구토증은계속된다.당신은누구인가.당신도플라스틱인가.드럼처럼머리를두드려대는삼킬수없는기계음인가.한가지주제의변주만반복하는지루한악기인가.영원한무한대복제인가.저춤추는무희는누구인가.거짓예언자의머리를받쳐들고무희에게다가가는당신은누구인가.저입맞춤은무엇인가.저위에손짓하는탐스러운포도송이의향기는무엇인가.손을뻗어도뻗어도닿을수없는저터질듯한노래는신기루인가깔깔대는환상일뿐인가.아,목마르다.

 

계간 문예연구2010년 겨울호 발표

 

 

[마지막 잎새] - 이봉희

 

내가 네게

이미 시들어

죽어버린 생명이라면

불가능한 현실이라면

 

난 차라리 가난한 화가의

마지막 잎새이고 싶다

 

못 견딜 눈서리 된바람에도

현실보다 강인한

생명을 나누는 죽음

 

그렇게 영영 지지 않는

아름다운 환상이고 싶다

 

계간 문예연구2008년 가을호 발표

 

 

[박제]- 이봉희

 

 

영원히 곁에 두기위해

신성한 제의처럼

새를 잡았다.

피를 다 빼어내고

가슴을 다 후벼 가져가고

그 속에

건조한 짚을 넣었다.

살아 있을 때 보다 더 빛나도록

유리 눈을 박고

날개를 닦아주고

다시는 이 땅에 내려오지 말라고

영원한 비상의 몸짓으로

펼쳐놓았다.

 

새는

다시는 이 낮은 곳에

내려앉지 않을 것이다, 영원히

그러나

노래하지도

통곡하지도

못할 것이다

안식의 날개를 접지도

눈을 감지도

못할 것이다, 영원히

 

계간 문예연구2006년 봄호 발표

 

2021.5.31. 

<The Bustle in a House - Emily Dickinson>

The Bustle in a House
The Morning after Death
Is solemnest of industries
Enacted opon Earth –

The Sweeping up the Heart
And putting Love away
We shall not want to use again
Until Eternity –
____
5월의 마지막 날 언니가 떠났다...

엄마 내가 이모 기도하는 데 “내 주를 가까이 하게함은...”이라는 찬송이 귀에 들렸어.  엊그제 딸이 또 다시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 달린 채 말했다. 

사실은 (딸은 전혀 몰랐지만) 그게 울 언니가 제일 좋아하던 찬송가였다.  너무 아파하지말라고, 너무 슬퍼말라고 오히려 우리를 위로해주는 언니의 메시지 같아서 큰 위로가 되었다. 

너무나 고통스럽게 너무나 급히 떠난 언니.. 코로나로 면회도 불가능하고 2주 격리까지 있어 가볼 수도 없이 멀리서 안타깝고 측은하고 미안하고 보고 싶고 만나지도 못하고 그냥 보내드릴 생각에 얼마나 가슴이 아프던지... 

뉴욕으로 떠나기 전 언니를 만나고 오는 날 유달리 몇달 사이 창백하고 소녀 같이 작아진 언니가 현관 문고리 잡고 배웅하면서 “너마저 가면 난 어쩌냐..” 하셨던 게 내내 가슴에 걸리고 맘이 아팠었다. 늘 다녀오는 여행이었는데 왜 이번에는 그런 말을 하셨는지... "언니 가긴... 곧 돌아올거야.  늘 그랬잖아... 식사 잘하고 있어." 그렇게 말하고 돌아서 오늘 길이 왜 그리 무겁고 안쓰럽고 불안하던지... 

바로 지난 주에도 보내 드린 우리 아가 사진들 보면서 너무 좋아서 까꿍까꿍하고 난리가 났다고 전해들었는데. 그래서 또 맘이 짠 했는데... 몇일사이 손도 쓸 수 없이 열었다 닫았다만 반복하고 저혈압 패혈증 투석 또 2차 수술 시도... 대체 그리 괴사가 된 몸을 어찌 견디며 지내신 것일까... 너무 불쌍하고 딱하고 미안하고 .... 

언니가 중환자실에서 그리 쓸쓸히 홀로 가셨지만  결코 "홀로"가 아니었을거라고, 
주님의 임재를 느끼며 베드로처럼 “주여 여기가 좋아오니...”하며 고통스런 이 땅에서의 삶을 다 내려놓고 평안히 눈부신 빛속에 안겨 가셨으리라 믿고 감사한다.  
하느님이 언니를 더이상 고통속에 두지 않으시려고 딱해서 얼른 안고 가셨을거라고.... 혼자가 아니었을거라고...  
쓸쓸하고 외롭지도 두렵지도 않았을거라고... 
언니는 가서 아버지 엄마 큰언니 큰오빠 모두 만났을거라고.......  그리 믿으면서도 왜 이리 아프고 슬플까. 

그래... 상실의 아픔과 슬픔 그리움 미안함 회한... 그 모든 것은 남겨진 자가 짊어질 사랑의 대가이며 감사히 지니며 살아갈 선물이다. 

https://journaltherapy.tistory.com/2454

photo by bhlee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나에게 말했다.

"당신이 필요해요."

 

그래서

나는 정신을 차리고

길을 걷는다

빗방울까지도 두려워하면서

그것에 맞아 살해되어서는 안 되겠기에

 

- 베르톨트 브레히트, <아침저녁으로 읽기 위하여>

 

 

누군가가 나보다 더 나를 필요로 한다는 것은 또 얼마나 큰 용기를 주는지요. 그러므로 이제 브레히트의 말처럼 "정신을 차리고" 나의 길을 가려합니다. 나를 필요로 한다고 고백하는, 사실은 '내가 필요로 하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말입니다.  [이봉희, <내 마음을 만지다> 중에서]

 

 

012917

 

Victory by Rene Magritte (here only for therapeutic and/or educational purposes)

 

문을 열었습니다
갈 곳이 없었습니다 

 
문을 닫았습니다
머물 곳이 없었습니다

 

정처없습니다

 

아, 나는 살아서,
아직 살아서,
정처없습니다

 

[구름- leebonghee]


MP 042118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 "

사랑이 뭐기에 허다한 죄를 덮는 이런 엄청난 능력이 있을까?

그리고 인간은 과연 그런 사랑을 할 능력이 있을까?

우리는 가끔 착각한다. 내가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누군가에게 자비를 베풀고 온정을 베풀고 있다고.
하지만 그 모든 것 뒤에 어쩔 수 없이 자리하고 있는 나의 자랑과 나의 의 앞에 절망하게 된다.
우리는 어떻게 늘  진실이 무엇인지 알 능력이 있다고 착각하는 것일까?

20여 년 전에 여객선 카페리호 침물 사건이 있었다.  섬과 육지의 한 도시를 오가는 배에 휴가철이었던가, 명절이었던가?  정원초과로 손님들을 태우고 가다 전복된 사건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거의 실종, 사망하였고 사고의 전말을 알기 위해서 선장의 행방을 찾았으나 선장은 발견되지 않았다.  처음에는 선장도 실종되었다고 생각했으나 거의 모든 시신이 발견되기까지 선장은 시신조차 발견할 수 없었다. 신문기사는 점점 선장에 대한 추측 기사에서 비난의 기사로 바뀌어 가고 있었다. 어쩌면 모든 사건이 그렇듯 이 사건에 대한 의문과 분노를 쏟아내고 책임을 물어야 할 대상이 필요했고 그건 선장이었다.  심지어 신문에는 선장을 목격했다는 사람이 있다는 기사까지 버젓이 실리더니 결국 그는 배를 버리고 도망간 것이 아니냐는 의심의 기사가 실리기 까지 했다.

2주 후 쯤 거센 물결때문에 지연되었던 배의 인양작업이 시작되고 침몰되었던 배가 배다 깊은 곳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그리고 선실 한 구석에서 그렇게 찾던 선장의 시신이 발견되었다. 그러자 일제히 언론은 선장을 칭찬하기 시작했다. 그는 승객들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배에 남아 키를 붙잡고 사투를 벌였으며 탈출도 하지 않은 채 배와 함께 운명을 같이 했다는 내용이었다.  나는 그 기사를 읽으면서 신문기사의 객관성에 대해 다시 한 번 회의를 갖게 되었다.  며칠전 비난의 글을 올린 신문이 이제는 칭찬의 글을 올리면서 아무 사과기사 한 줄 없었다. 

선장의 시신이 발견되자 드디어 선장의 유족들이 입을 열었다. "우리 남편은 책임감이 강한 사람이었어요. 절대 배를 두고 혼자 도망갈 사람이 아이었어요..." 

왜 유족들은 온갖 비난의 화살을 맞을 때 아무 말을 하지 못했을까? 왜 이제야 , 시신이 발견된 후에야, 입을 열어 항변할 수 있었을까?

그건 내게 무척 충격적이었다. 
그 어느 누구도 "진실"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모두들 "자신이 원하는" 진실에 맞는 데이터만 무의식적으로 수집하는 "가설검증바이어스"에 걸린 탓인지 모른다.  (중요한 것은 '가설검증바이어스'라는 말도, 많은 인간의 심리를 파해치는 과학적 용어/판단들처럼, 이미 증상으로 나타난 인간들의 행태와 모습을 통해서 그것을 분석하고 이름을 붙인 것일 뿐이라는 것이다. 즉, 바로 인간들의 모습에서 이미 그러한 만연된 현상을 발견했기 때문에 만들어진 가설인 것이다. )

나도 언젠가부터 누군가 나를 오해하면 아무 말을 하지 않는다.  (물론 어떤 의미에서건 오해의 근거를 내가 제공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제껏 살면서 깨달은 바에 의하면 그 누구도 진실에는 관심이 없다는 것을 배웠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정의감에서 누군가를 증오하지 않는다.  대개의 경우 사람들은 자신의 자존심을 건드리거나 자신에게 도전을 한 경우 그 순간부터 상대를 판단하고 비난하기 시작한다.  또는 사람들은 진실을 알아도 그것때문에 상대에 대한 호의적 행동을 하거나 그사람 편을 들어주지 않는다.  그들이 손을 드는 쪽은  언제나 자신에게 유익한 쪽이다.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쪽이다.  또는 자신을 마치 신처럼 여겨주고, 우러러보며 존경하고 복종해주는 쪽이다.  우러러보고 떠받드는 사람들도 어쩌면 힘의 논리에 의해서, 자신들의 유익함을 위해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건 나약한 인간의 당연한 본능적 선택인지 모른다.  어린시절부터 우리는 얼마나 자주 왜 독재가 존재하는 지, 왜 자신을 존중해주고 친절히 대해주는 사람보다 자신을 무시하는 사람들, 힘을 과시하는 사람들, 명령하는 사람들에게 모두들 더 다가가서 무리를 이루는지 보아왔다.

그렇다고  그들(나를 포함한)을 비난하려고 이런 말 하는 게 아니다. 새록새록 깨닫고 확인하는 것은 바로 인간에게는 어떤 객관성에 의해 남을 판단하는 능력이 없다는 말을 하고 싶은 거다.  인간은 그럴만한 "인격적 실력자"가 아무도 없다. 
만일 선장의 가족들이 한참 비난의 화살을 받고 있을 때 "우리 남편은 그런 사람이 아니에요. 우리 아들은.. 우리 아빠는..."이라고 항변했다면 누가 들어주었을까? 

그 누가 그 말을 기사로 실어주었을까?  소위 그들이 말하는 "객관적 증거"인 시신을 본 후에야 실어줄 수 있다는 말일까? 그럼 그 시신이 나오기도 전에 한 두개의 정황으로 유추하여 기사를 쓴, 그래서 그 가족을 지옥 속에 몰아 넣은 신문기사는 무엇을, 과연 어떤 객관적 증거를  근거로 한 것일까?

나는 그 기사를 읽으면서 갑자기 머리 속에 "실종된 진실"이라는 말이 떠올랐다.  진정 실종된 것, 그건 시신이 아니라 진실이었다는 생각. 


만일 그 선장의 시신이 영영 물결에 휩쓸려 어디론가 사라졌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그 시신과 함게 선장에 대한 모든 진실도 함께 실종되어 사라져버렸을 것이다.  그리고 잘못된 추측기사만 더 "진실"이라는 쪽으로 무게를 싣고 사람들의 머리에 남아있었을 것이다.  아니... 사람들의 머리 속에서 얼마 후 까맣게 잊혀졌을 것이다 (사그러든 집단 분노와 함께?).  다만 희생자들만 영원히 잊을 수 없는 상처를 안고 살아가야 했을 것이다.

세상에는 인양되지 못한 채 가라 앉아 사라져간 얼마나 많은 "실종된 진실"들이 있을까? 그리고 그 실종에 의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을까?

공교롭게도 그 사건 얼마 후 비슷한 일이 또 보도되었다. 한때 월북했다고 여겨진  S여고 교사의 사건에 대한 "진실"이 밝혀졌다. 그 교사는 자진월북이 아니라 납북된 것이었다. 그리고 신혼 10개월 후 생이별을 하고 사회에서 매장되어 살아온 그 부인이 18년간의 고통끝에 우울증으로 (시신이나 다름 없는 뼈만 남은 몸으로) 투신자살을 한 사건이 있었다.  이것도 실종되었던 진실의 "시신"이 뒤늦게 인양된 사건이다. 또 한명의 희생자를 낳고. 이 테러에 대해서는 왜 아무말이 없는 것일까?

과연 나는 얼마만큼 한 인간에 대한 진실을 알고 있을까?  아니, 한 인간을 안다고 말 할 수 있을까? 그건 또 다른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신은 우리에게 타인에 대한 판단보다는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와 사랑을, 용서와 인애를 강조하는 것인지 모른다. 복수는 신의 몫이라면서.... 

타인의 행동의 배후까지 이해하기를 바란다면 순진하기 짝이 없는 바보이거나 아직도 감상주의적이고 꿈을 쫓는 이상주의자거나 혹은 골치 아픈 이상한 사람이라 여겨지는 세상에서 누군가가 겉에 드러난 행동으로 오해와 비난을 받을 수는 흔히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하나의 행동으로 인해  한 인격을 "정의 내린다"는 것은 또 다른 폭력이다. 그건 오직 신만이 할 수 있는 신의 영역에 속한 일이다.

그리고 그렇게 한 인간을 판단하고 재판할 수 있는 신은 정죄의 언어로 오시지 않고 "용서"의 언어로, 사랑과 관용으로 오셨다.  간음한 여인을 돌로 치려하자 그 무리를 향해 그는 "누구든지 저 여자를 돌로 칠 수 있는 자가 먼저 쳐라." 하시고는 돌로 칠 자격을 가진 유일한 자인 그분은 "나도 너를 정죄하지 아니 하니 가서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고 하셨다. 

또, 수가성 우물가의 여인을 생각해본다.
그여자는 5명의 남편과 살았다.  그 남편이 남의 여자의 남편이었던 사람인지 모두 그냥 싱글이던 남자였는지 알 수 없다.  자신의 남자를 빼앗긴 여자라면 그 수가성의 여자를 비난하고 돌던지는 것을  인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자신의 남편과는 무관한 한 여자, 그 여자가 5명의 남편과 살았다고 그녀를 정죄하고 손가락질하고 근처에도 못오게 하는 것은 과연 "정의"의 분노일 뿐일까?

그런데 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그 여자를 "재판"하고 "비난"하고 "정죄"할 모든 권리를 가진 사람이엇다.  그가 그 여자를 찾아서 일부러 그 시간에 그 마을을 지나가셨다.   그는 그여자에게 한마디도 네가 어떻게 살았는가 보라..고 훈계한 적도 없었다. 더구나 "나를 보라. 내가 얼마나 거룩한가. 나를 닮으라"고 말한 적도 없었다.  그 교태를 버리라고 말한 적도 없었다.  아니 안타깝다며, 너를 정말 위해서 하는 소리라며 충고하지도 않았다--네 처지를 보라고, 왜 모든 사람들로부터 외면받고 사람들을 피해 이 더운 정오시간에 혼자서 이 먼 길을 물을 길러 와야하는 지 네 외로운 처지를 보라고, 그게 다 네 탓이 아니냐고, 반성하고 돌아보라고 훈계하지도 않았다.  (오전 시원한 시간엔 마을 여인들이 물을 길러 오는 시간이므로 그여자는 그 시간에 올 수가 없었다.)  다만 그는 "알고 있었다."   왜 모든 마을 사람을 피해 이 뜨거운 정오 먼길을 걸어 혼자 외롭게 우물물을 길러 와야 했는지.   왜 이 여인이 5번씩이나 남편을 갈아야 했는지. (아니 남편들 중 몇은 그들이 먼저 이 여인을 버리고  떠났을 지 누가 아는가.)

상대가 어떤 사람인지 알았다는 것과 그것을 상대에게 설명하고 재판하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다.  여기서 인간의 한계가 드러난다.

그 사람은 그 여인의 그럴 수 밖에 없는 한계와 나약함을 "알았기에" 그녀를, 그 겉에 드러난 행동을 정죄하지 않고 오히려 끌어안아 주었다.  우리가 상담이니, 심리학이니, 여러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려는 지식을 동원하는 건 상대를 정의내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판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사람을 정죄하고 추궁하고 충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행동의 근거가 되는 아픔/병을 "바로 이해하고" 끌어안아주고 덮어주고 사랑해주기 위해서가 아닐까?  (물론 전문적 약물치료를 포함한 의학적 치료를 말하는게 아니다.)

중요한 건 겉에 드러난 행동 이전의 너의 상처야, 너의 목마름이야, 너의 영적 가난함이야... 라고 그는 수가성여인의 소위 부도덕함과 "방탕함"의 배후를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걸 주었을 뿐이다.  목마르지 않을 물이 있다고 말해주었던 것이다.  네가 원하는 게 뭐냐고 캐묻지도 않았다.  그녀에게 진정 무엇이 필요한 지 알고 있으니까.  그녀가 뭘 원하는지 모른다고 한심하다며, 이 여자는 아직  더 고통을 당해봐야해.. 라며 등을 돌리지도 않았다. 

인간은 아무리 거룩해도.. 아니 거룩할 수록 또 다른 죄을 범하게 된다. 상대 앞에 자신의 우월성을 증명하는 죄.
그게 바로... 사랑이 없고, 어쩌면 사랑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끊임없이 행하고, 실패하고 나아졌는줄 알았는데 아직도 아니라고 하나님은 또 시련과 절망을 통해 성찰하고 깨닫게 하시는 지도 모른다.

두 말씀 앞에 가만히 또 나를 돌아본다. 

"아무도 판단하지 말라. 나도 나를 판단치 아니하노니 내가 양심상 깨끗할 지라도 주 앞에 죄 없다 못하리라."

"네가 천사의 말을 할지라도, 네 몸을 친구를 위하여 불사르게 내어줄 지라도 사랑이 없으면 너는 아무것도 아니다.(You are NOTHING)"

[침묵]

 

그 곳에
사람들은 급히 발자국만 남기고 떠나갔다
멋지다, 왁자지껄 감탄 한마디씩 하고 ...
몇몇은 행복한 표정으로 사진을 찍고
서둘러 떠났다
늘 갈 길이 급했으므로
해지기 전 산을 넘어가야 했으므로
넘어가야 할 산은 늘 있으므로
돌아가야 할 곳이 늘 있으므로
발자국만 어지러이 남는 외딴 곳
바다도 먼 산도
어스름도
아름다움도
이젠
말이 없다
기다림이 사라진 곳
침묵.

 

--

photo by bhlee

 

MP

<구해야 할 지혜: 분별의 마음(discerning heart)>

 

"지옥은 너무 늦게 발견한 진실(Hell is truth seen too late)"이라고 흄(Hume)은 말했다.

어떤 잘못도 늦게라도 깨닫고 대처하는 것이 아예 진실을 보지 못하고 외면하는 것보다 옳다.

...

왜 이리 세상의 어리석음은 반복되는 것일까? 과거를 외면하는 자는 과거를 반복하고야 만다는 것을 왜 인간들은 계속 잊는 것일까?

 

자신이 역사에서 배운 유일한 진실은 "인간이 역사를 통해 배운것이 없다는 점"이라고 세계적 역사학자 토인비가 말했다. 사건과 이름만 다르지 인간의 역사에서 반복되는 인간의 어리석음을 한마디로 지적한 것이다.

 

"저희는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고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한다"는 인간의 어리석은 아집과 오만함에 대한 영원한 진리 앞에 다시 한 번 겸허해야 하겠다. 이것이야말로 보이지 않는 질병이 아니고 무엇일까?

 

나는 눈감고 귀막고 아집에 갇혀 어떤 우매함과 잘못을 반복하고 있는 것일까. 나를 진리앞에 겸손케 하소서ㅡ 분별의 지혜를 가진 "마음"을 주시옵소서.
***********

 


---내가 네게 무엇을 줄꼬, 너는 구하라.
---나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께서 종으로 왕이 되게 하셨사오나 종은 작은 아이라 출입할 줄을 알지 못하고 주의 택하신 백성 가운데 있나이다.... 그런즉 "지혜로운 마음"을 종에게 주사 선악을 분별하게 하옵소서. 누가 주의 백성을 다스릴 수 있겠습니까?  (So give your servant a discerning heart to govern your people and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For who is able to govern this people of yours?)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진정한 여행은 새로운 경치를 찾아가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을 갖는데 있다.  - 마르셀 푸르스트

 

 

 

2020 새해가 되었다.
나의 새로운 한 해의 여정은 새로운 눈을 열리는 여정이 되기를.
따뜻한 눈, 포용하는 눈, 나의 나약함과 타인의 나약함을 모두 받아주는 친절한 눈

나약함과 상처 속에 감추어진 희망과 가능성을 찾아내는 눈

내가 시들어가는 꽃들, 헐벗은 겨우나무를 사랑하듯이 그런 마음을 사람들에서도 발견하는 눈

겉 모습 너머의 진실을 바라보는 눈과 동시에

그 진실이 추악할 때 맞서 싸우거나, 그럴 수 없는 일이면 용서하는 눈

어둠 속에서 빛을 바라보는 눈,
저 높은 곳에 소망을 두고 뚜벅뚜벅 길 없는 길을 찾아가는 믿음의 눈
눈물를 부끄러워하지 않고 눈물로 씻긴 후 더 맑아진 눈을 소망하기를

그런 여정이기를.

 

 

 

 

 

photo by bhlee at Seattle(2007)  

 


어째서 무엇이 이렇게 내 안에서 캄캄한가
옅은 하늘빛 옥빛 바다의 몸을 내 눈길이 쓰다듬는데
어떻게 내 몸에서 작은 물결이 더 작은 물결을 깨우는가
어째서 아주 오래 살았는데 자꾸만 유치해지는가
펑퍼짐한 마당바위처럼 꿈쩍 않는 바다를 보며
나는 자꾸 욕하고 싶어진다
어째서 무엇이 이렇게 내 안에서 캄캄해만 가는가  [이성복]

 

 

하늘은 오늘 무슨 일로

그리 하염없이 흘러내리는지

그 아래 같이 젖으며 산길을 걸었다.

지는 가을빛이 저홀로 더욱 고운데 

저만치서 무심한 듯 비둘기 한 마리

아무도 없는 내 길을 앞서고 있었다.

 

빗물을 가린

나를 가린 우산ㅡ

그 끝에 낙엽 하나 떨어져

가만히 나를 들여다보았다

“너는 해바라기처럼 웃지 않아도 좋다”*고 말해주면서...

 

111719(MP)

(* 이용악-장마개인 날의 한구절)

 

----------

<나는 어디에 심겨졌을까?>

 

작년인가 작은 고무나무 화분을 하나 샀다.

지난 여름 분갈이를 해주자 신통하게

매주 연두빛 반짝이는 새 잎이 

뾰죽이 얼굴을 내밀더니 

갑자기 내 가슴 높이만큼 커졌다.

두 배로 자란 나무를 보며 대견하면서도

마음이 짠하다.


저리 맘놓고 자랄 수 있던 나무가

작은 화분에 심겨진 채 있었다면

사랑해사랑해만 해준다고

햇살 좋은 창가에 놓아준다고

새 잎을 맘껏 피울 수 있었을까?

 

스스로 분갈이를 할 수 없는

화분 속의 나무들,

우리는 어떤 화분 속에 심겨져 있을까?

 

나는 어디에 심겨져 있을까?

 

(MP)

---------------------

저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는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시1:3)

 

https://theblog.adobe.com/adobe-max-2019-3d-design-creativity/

Discover a New World of 3D Creativity at Adobe MAX 2019 in LA.

 

Adobe MAX 2019 is a chance to experience everything that Adobe does in the world of design – and these days, that means design in three dimensions (a leading design trend in the last year). The company’s global ‘creativity conference,’ which takes place in Los Angeles from November 4-6, provides a chance both to explore Adobe’s work at the frontiers of computer graphics and to discover what its existing tools can do for your workflow: tools that now include 3D material-creation packages Substance Painter and 3D design and rendering software Adobe Dimension.

 

During this year’s show, guest speakers including graphic designer Erin Kim, brand image consultant at foam Studio, and Christophe Desse, lead technical artist at AAA game developer Naughty Dog, will share their own experiences of making the switch from working in 2D to working in 3D using Adobe’s tools, and the enormous gains in creative flexibility that can result.

There is a distinct visual difference between an image created without light or material in traditional 3D applications (left), an image with only added light when you begin working in Dimension (center), and a finished image in Dimension with both light and materials (right).
With its shallow learning curve, Adobe Dimension helped graphic designer Erin Kim overcome technical hurdles on her move from 2D to 3D: a journey she will recount at Adobe MAX.

From fake 3D to flawless 3D with Adobe Dimension

Erin Kim, now a senior product designer at Adobe, but whose career in graphic design includes spells at both R/GA and Pentagram, wants to help “[people] like myself a few years ago: graphic designers without any former training in 3D,” become more efficient and creative by mastering 3D skills.

In her session, Adobe Dimension: Enabling 2D Designers to Push the Boundaries of Creativity, which runs on Tuesday, November 5 at 8:15AM and Wednesday, November 6 at 10:15AM, Erin will discuss how Dimension automates technical tasks. This includes tasks like texturing and lighting, which helped to smooth her journey from software like Adobe Photoshop and Adobe Illustrator.

 

“Before Adobe, I frequently created 3D mockups for everything from package designs to sneaker campaigns. During that time, I would ‘fake’ the 3D effect [with] painstaking and time-consuming 2D image manipulation,” she says. “As I started using 3D software, I learned to make very simple models fairly quickly [but] the real challenge was how to make [them] look realistic. I often ended up coming back to Photoshop to [add] effects such as lights and shadows because I couldn’t get beyond the gloomy greyish screen on the 3D application.”

 

“When I joined Adobe, everything changed. I knew immediately that Dimension was the 3D app I had been dreaming of – [an app for] 2D designers like myself who wanted to work in 3D but had been intimidated by its complexity. Ever since then, my personal mission has been [to deliver] user experience in the most accessible way, without a big learning curve.”

 

In her talk, Erin will demonstrate how Dimension can be used for a range of tasks, from logo and packaging designs right up to creating a complete photorealistic 3D scene. “The thing that I want my audience to remember is [that] 3D is relevant, accessible and even fun,” she says.

------------------ 

S6106 - Adobe Dimension: Enabling 2D Designers to Push the Boundaries of Creativity

SPEAKER: Erin Kim, Senior Product Designer, Adobe Dimension, Adobe 

Are you a graphic designer who wants expand your repertoire to include 3D design? See how Adobe Dimension can make the world of 3D accessible to you. Join Dimension Senior Product Designer Erin Kim, who made the leap from 2D to 3D design with Dimension, to discover how you can use the easy 3D tools and familiar interface with assets from Photoshop and Illustrator to visualize packaging and logo designs or craft the perfect photorealistic scene.

As Erin shares her journey into 3D with Dimension, you’ll learn:

  • Why Dimension is perfect for graphic designers new to 3D
  • How 3D is different from 2D
  • How to take your 2D designs from Photoshop and Illustrator to 3D 

About the latest features in Dimension that will boost your creativity even further

Technical Level: General Audience
Lab Platform: N/A
Type: Session
Category: How To
Track: Drawing & Digital Painting, Graphic Design & Creative Imaging, 3D & Immersive
Product: Dimension
Audience Types: Art/Creative Director, Educator, Game Developer, Graphic Designer, Motion Graphics/Visual Effects Artist, Print Designer, Web Designer, Illustrator
  • Tuesday, November 05 | 08:15 AM - 09:30 AM | LACC-Concourse-408AB
  • Wednesday, November 06 | 10:15 AM - 11:30 AM | JW Marriott-Diamond 5

------------------

 

Erin will speak on Tuesday and Wednesday.  (for over 300 attendees! )

 

She is going to do the Barcelona workshop on Monday.

I am so proud of her!   I'll keep my fingers crossed for her.

 

---



 

   

 

마지막 잎새 - 이봉희

 

내가 네게

이미 시들어

죽어버린 생명이라면

불가능한 현실이라면

차라리 가난한 화가의

마지막 잎새이고 싶다

견딜 눈서리 된바람에도

현실보다 강인한

생명을 나누는 죽음

그렇게 영영 지지 않는

아름다운 환상이고 싶다

(2003)

 

 

MP

  

 

이별의 노래와 둘째 언니

 

1960년대 초에는 오늘날처럼 학생의 우상이 되는 연예인은 없었다. 노래를 부르는 10대 가수는 아예 없었다. 내가 초등학교 때 듣는 노래는 가끔 오빠가 좋아하는 노래, “검푸른 저 산 넘어, 이슬이 석양빛에 소리 없이 사라져...(나중에야 그것이 영화 <셰인>의 주제가임을 알았다)“ 라든가 암으로 42살에 돌아가신, 살아 계셨다면 지금 70을 훨씬 넘기셨을 당시 영어 선생이던 멋쟁이 큰언니가 벚꽃 만발한 무심천 둑을 내 손을 잡고 거닐면서 불러주던 무언지 모를 영어노래들이 동요 말고 내가 아는 전부였다. 그 중에 내가 열심히 따라하던 ”새드 무비(Sad Movies)"는 언니가 친절히 그 노래의 내용을 다 설명해주기도 했지만 당시 우리나라 가수들이 영어와 섞어 불러서 어린아이에서 어른까지 히트시킨 노래였다.  

 

당시는 전등불을 시에서 일방적으로 켜주고 끄는 시간이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밤마다 불이 '나가는' 시간이 통금처럼 정해져 있었다. 저녁 식사시간에 들어와서 11시인가 12시가 되면 불이 나갔다. 그래서 늘 어머니나 언니들은 불 나가기 전에 숙제하라고 종용을 하시곤 했었다. 불이 나가면 특히 밤이 긴 겨울이면 언니들과 촛불을 켜놓고 그림자놀이를 했다. 그러다가 한 이불 속에 동그랗게 둘러서 누우면 둘째 언니는 어김없이 어둠 속에서 노래를 부르곤 했었다. 다 큰 초등학생 동생들을 위해 자장가를 불러주었을 리는 없고 아마 말로 표현 못한 가슴속의 무엇인가를 어둠 속에서 노래로 대신했었던 것 같다.

“기러기 울어예는 하늘 구만리/ 바람이 싸늘 불어 가을은 깊었네... 산천에 눈이 쌓인 어느 날 밤에/ 촛불을 밝혀두고 홀로 울리라. 아 아, 너도 가고 나도 가야지” “아무도 날 찾는 이 없는 외로운 이 산장에....” “눈을 감고 걸어도 눈을 뜨고 걸어도....” “겨울은 가고 따스한 해가 웃으며 떠오고...” 한 시간정도 언니의 노래는 끝없이 이어졌다. 유난히 숨이 짧은 둘째 언니가 숨을 참아가며 어찌나 정성스럽게 부르는지, 그리고 그 노래가 어쩌면 하나같이 어두운 밤 혼자 문밖에서 울다 가버리는 겨울바람처럼 쓸쓸하게 들리던지 나는 숨소리도 못 내고 옆에 누워 듣다가는 잠이 들고 했었다.

 

그건 노래가 아니라 차라리 말 못할 하소연이었다. 그 언니가 “아름다운 꿈만을 가슴 깊이 안고서 외로이. 외로이 저 멀리 나는 가야지,....말없이 나는 가야지” 하고 부를 때면 정말 내일 아침이면 어디로 가버리려고 몰래 보따리라도 싸 놓은 게 아닌가, 은근히 걱정되어서 졸린 데도 자지 말고 깨어 있어야 할 것 같은 두려움과 사명감에 끙끙대다가 잠이 들곤 했었다. 그 언니는 결국 폐가 너무 나빠서 채 피지도 못한 20대 초반에 자신이 즐겨 부르던 노래, “산장의 여인”처럼 요양소로 떠나야 했었다.  

 

큰오빠가 언니를 면회하러 가면 언제나 내가 보내준 편지(그때 내가 초등학교 1학년쯤이었을 거다.)를 보면서 울고 있었다고 말하던 것이 기억난다. 지금 와서 생각하면 언니는 그 곳에서도 의사 몰래(결핵 환자는 크게 웃지도 못하게 했었다.) 밤이면 [노래]를 불렀을 것 같다. 그곳에서 떠나고 싶은 마음을 또다시 같은 노래 가락들 속에 실어서 “말없이 나는 가야지” 하고 불렀을 건 만 같다. 언니의 노래는 어쩌면 내가 책 한 권 내지 않으면서도 혼자서 항상 무언가를 끄적이는 독백의 습관과 어쩌면 같은 것이었는지 모른다.

 

사실 나는 고등학교 때 그 언니가 너무 불쌍해서 학교 수업 중에도 혼자서 책 위에 눈물을 떨구며 소리없이 운 적도 많았다. 그래서 친구들에게 오해도 많이 받았었다. "어머머 쟤봐 울어...."라고 나를 보고 깔깔대던 아이들의 소리가 기억이 난다.

 

언니는 요양원에서 20살 대학초년생 때 폐하나를 떼어냈다. 평생 온갖 병을 다 겪고, 암도 이겨내고, 늘 숨이 차서 고생하며 살더니, 10년 전 수술을 하고 그 와중에 또 하나밖에 없는 폐가 폐렴에 걸려 회복의 기미가 보이질 않았다. 몇 달간 중환자실에서 산소호흡기에 의지해서 견디더니 기적같이 고비를 넘겼었다. 의사도 포기했었기에 불사조라고 했다. 당시 무의식속에서 이 세상과 저세상을 오가며 겪는 영적인 싸움이 얼마나 무섭고 치열했던지 그 싸움을 할때는 몇일 사이에 완전 뼈와 가죽만 남기도 했었다. 그렇게 힘겹게 살아남았는데 너무 지쳤는지 그 다음 해인가 뜻밖에 알츠하이머 초기라는 진단을 받았다. 10년이 넘도록 치료를 받으며 그래도 잘 견디어왔다. 오랜 옛일은 나보다도 훨씬 더 총기있게 선명히 기억하는데 이제 점점 현재에서 뒷걸음질쳐가고 있다. 단기 기억이 눈에 띄게 나빠지는 요즘의 언니를 보며 마음이 너무 아프다. 아직은 통화도 하고 이것저것 안부도 묻지만 조마조마 불안하기만 하다. 이젠 통화 중에 언니가 기억 못해도 스트레스 줄까봐 그냥 다 받아주고 있다.

 

몸이 약해 무척 예민하긴 했지만 항상 잘 웃고 긍정적이고 깔끔하고 음식솜씨며 살림이 야무지던 언니. 치매걸린 시부모님 두 분을 집에서 다 보살피던 언니.형부도 오래 전 암으로 떠나가시고 자녀도 없이 저렇게 언니는 20살 어린나이 요양소에 홀로 남겨졌을 때처럼 혼자 과거 속에 남겨지는 것일까? 그런 날이 올까봐 문득문득 그런 이별아닌 이별이 두렵고 눈물이 난다.

 

약한 몸으로 자기 때문에 동생들 결핵 걸렸다고 미안해하던 언니. 책을 손에서 놓지 않던 언니. 서울에서 서울대 이대 경기고 다니던 큰오빠 언니 작은오빠 뒷바라지 다 해주던 언니. 그리 해맑게 자신을 위한 욕심 없이 정말 열심히 사셨는데 삶은 끝까지 언니에게 자비롭지 못하다는 생각마저 든다.

 

생은 그런 것이다.  내가 살아오면서 자주 느끼는 슬픔은 생이 그런 것이라고 가르쳐주고 있었다.

 

9/22/2010

 

 

( 그림에 있는 아이가 입었던 옷과 내가 즐겨입었던 티셔츠)

 

 

 

엄마, 어느새 또 5월 8일이 돌아왔어요. 매년 5월 8일만 잘해드리는 것 같아서 죄송해요. 하지만 엄마, 제가 엄마 사랑하는 거 아시죠? 매년 그래왔던 것처럼 이번에도 “시”를 준비했어요.

엄마. 가만히 오른 손으로 왼손을 쥐어보세요. 전 혼자 있을 때 그렇게 해요. 꼭 엄마의 손이 제 손을 굳게 잡고 있는 듯해요.

눈을 떠 보았습니다
칠흙 같은 어둠의 늪 속에서
홀로 허우적거리는 저를 보았습니다.

어둠과 하나가 되어가는 절망을 느끼며
두려움에 나의 두 눈을
꼭 감았습니다.
“아, 이제는 끝이로구나”

다시 눈을 떴을 때
어둠의 늪을 지나 환한 빛을 향해
당당히 걷고 있는 저를 보았습니다

빛에 도달했을 때
저는 비로소 느꼈습니다.
제 뒤에 있던 당신을.

당신을 느끼기 위해
눈을 살며시 감아보았습니다
저를 붙들어 주었던
당신의 손길이 느껴졌습니다.

당신의 눈물로
제 마음에 파문을 일으키신
당신은 저의 분수십니다.

당신은 제 호수의
분수대이십니다.

은빛 실을 내어
저에게 새로운 삶을 입히시는
당신은 저의 분수대이십니다.

------------------------------------------


나의 사랑하는 딸아이가 어릴 때 어머니날 카드에 쓴 시.
엄마가 학교에서 늦게 돌아오는 날이면 빈 집에서 얼마나 힘들고 외로웠을지....그래서 엄마 손 대신 자신의 손으로 다른 편 손을 잡아주며 엄마를 느껴보던 아이....

 

다 지난 까마득한 옛일인데 아직도 미안하고 가슴이 아프다. 그래서 딸이 내게 보낸 수 많은 카드들 중 어머니날이면 잊지않고 다시 꺼내보는 카드 중 하나가 이 편지(시)이다.

 

딸아이는 어려서부터 피아노 학원들 다녀오거나, 유치원에서 집에 오는 길에 길가에 핀 작은 꽃이나 작은 돌, 또는 예쁜 작은 카드를 만들어 "써프라이즈!!!" 라고 말하며 고사리 같은 손으로 내게 자랑스럽게 건네곤 했었다.

 

우리는 늘 서로에게 쪽지나 카드를 써주곤 했었지. 지금도 일년에 한 번 만났다 헤어질 때는 어딘가에 편지나 카드를 써서 서로에게 남기곤 한다. 언젠가 아이가 정말 힘들어 할때 내가 그냥 포스트 잇에 세상에서 네가 가장 예쁘고 아름답다고 적어 컴퓨터 모니터 앞에 붙어주었는데 일년 후 가 보니 그 낡은 포스트 잇을 그대로 붙여두고 있었다. 딸애가 유학을 떠나던 날 현관문에 붙여놓고 간 쪽지가 아직도 그곳에 붙어 있듯이.
우리에겐 정말 소중한 추억이 많다. 감사하게도.

 


엄마의 딸에게 보내는 글.

나의 생명, 나의 딸,
이젠 엄마보다 훌쩍 커버려서 한참 올려다 봐야 하는 우리 딸. 그래도 엄마는 지금도 늘 네 손을 잡듯이 나의 두 손을 모으고 널 위해 기도한단다. 잊지마,  우리에겐 우리의 손을 절대 놓지 않으시고 꼭 잡고 함께 가시는 주님이 계심을.

Do you remember all the pretty letters you gave to me from time to time?
Do you remember you used to prepare a "surprise" for me? -- a little nameless flower, a little card.... anything that said "I love you, Mom"

I knew those little gifts were not just saying"I love you, Mom".  I knew they were telling me that "I needed You.  I missed Mom  all day long."  and that you were  alone and lonely.

I AM sorry, Dearest.   I've never been much of a mother, I know.  However, YOU have been always with me as part of my life.

This is one of your letters you gave me when you were so little!
I miss you so much!

080508

Creativity & Technology in the Age of AI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유럽에서 가장 큰 디자인 컨퍼런스 중 하나인 OFFF

Creativity and Tech. in the age of AI (AI 시대에 창조성과 테크놀로지)를 주제로 3명이 Adobe 대표로 발표했다.

오디언스가 3000명가까이 모였다고 한다.

 

커퍼런스 발표 후 live webcast. 흥미롭고 재미있는 내용이다.

 

 

오빠가 갑자기 하늘 나라로 가신지 벌써 4년이 되었다. 까마득해 보이기도 하고, 아직도 실감이 나지 않는다.
오늘 밤엔 저 먼 곳 별이 되신 보고픈 얼굴들이, 별이 되어 내 가슴에 뜨고 지는 분들이 자꾸만 그립다.
아버지, 엄마, 큰언니, 큰오빠....그리고 또 작은언니. 

떠나간 사람들이 남긴 빈 자리는 그 무엇으로도 채울 길이 없다.
그런데도 여전히 나는 아직 남아있는 사람들에게 훗날 아쉬워할 일들을 아무 생각없이 하며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직은 내 곁에 머물러 있을 거라 합리화하면서.....
아직은 시간이 남았다고, 내 하루하루 살아내기가 더 급하다고 하면서...
------------

2015. 3. 24.

큰오빠가 갑자기 우리 곁을 떠나신 지 일주일 째 되는 날이다.
물론 오래 앓으셨지만 갑자기 어느날 아침 떠나실 줄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

나에게 아주 특별했던 큰오빠, 가족 중에 그 누구보다 나를 사랑하시고 보살펴주시고, 내가 아버지 같이 의지했던 오빠.
어린 시절 서울에서 내려올 때마다 동화책을 한 아름 사다 주시면 외도록 그 책을 있으면서 행복했던 기억이 난다.
오빠 방에는 철학책, 시집, 화집, 문학전집 등 책으로 가득 찬 책장이 있었고 나는 그곳에서 무슨 말인지 알 수도 없는
일어, 불어, 영어 등 외국어 책을 쑤알라 쑤알라 하면서 읽는 흉내를 내었던 기억이 난다.


오빠방 하얀 커버가 씌워진 안락의자에서 나는 엄마 품에 안긴 듯, 참 포근했었다. 오빠가 벽에 걸어 놓은 고흐, 고갱, 세잔, 르노와르, 마티스 등등의 그림들은 어린 내게도 얼마나 큰 경이로움과 알 수없는 위로와 기쁨을 주었던지. 오빠가 전축에서 들려주시던 클래식 음악들, 오빠가 즐겨 부르던 영화 "셰인"의 주제곡....

어린 시절 오빠는 가끔 나를 불러서 외국 시를 읽어주셨다. 10대의 시인이라면서 프랑스 여자아이의 시를 읽어주던 기억도 난다. 긴 겨울 밤 한 이불 속에서, 또는 짧은 여름 밤 마당에 돗자리를 깔고 누워 별을 보면서 듣던 엄마의 구수한 옛날 얘기처럼 오빠의 이런 저런 이야기도 내게는 참 따뜻하고 소중하였다. 그래서인지 나는 교내 글짓기대회 교장상은 물론이고, 시장, 그리고 도지사 상을 늘 받았던 기억이 닌다. 그 어린시절 내 꿈은 소설가였다. 그 꿈을 하얗게 잃어버린 것이 언제부터였을까? 그래서 나도 오빠처럼 대학교 때 모든 선택과목을 철학으로 했었을까? 


철학과 문학과 음악과 미술..... 내가 사랑하는 것들로 가는 마음의 문을 열어준 오빠.

7남매의 막내로 그것도 다섯째 딸로 엄마 나이 40에 태어난 나(어쩌면 반갑지 않아서였을까?)-- 엄마는 간난아기에게 큰 관심을 보이지 않으셨던거 같다. 어느 날 오빠가 안방에 들어가보니 핏덩이인 내가 빈 방에서 혼자 꼬므락거리면서 오빠를 쳐다보는데 갑자기 그렇게 측은할 수가 없으셨단다. 그때부터 오빠는 날 유난히 사랑하셨다. 크면서 유달리 애교가 많았던 나를 보며 오빠는 늘 우리집에 막내 없었으면 어떻게 할 뻔 했어요, 라고 하셨단다. 엄마 모유가 나오지 않아서였을까, 간난아기 때 몇일이고 밤 새 울기만 하여서 엄마는 얘가 이러다 죽으려나보다 하셨단다. (당시는 우리나라에 아이용 분유도 우유도 없을 때였다.) 그런데 어느날 오빠가 미군부대에서 나온 분유(당연히 전지분유)를 사오셔서 그걸 (젖병도 없던 시절이니) 그릇에 타서 수저로 떠 넣어주었더니 간난애가 한 대접을 다 받아먹고 그 날로부터 색색 잘 자더란다. 그래서 엄마는 그 때 미안했다고, 넌 어려서 젖을 주려서 몸이 약하다고 늘 말씀하셨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일까, 아니면 어린 시절 오빠가 명동 찻집에 친구들 만나려가면 나를 꼭 데리고 다니시면서 따뜻한 우유(역시 분유를 탄 것)을 시켜주셔서 그때 그 맛을 못 잊어서일까, 나는 유난히 따듯한 우유를 좋아한다. 아직도 여름에도 우유를 뜨겁게 데워 마시곤 한다.

결혼하고 뒤늦은 나이 유학을 떠났다 돌아왔을 때 친정 가까이 살면서 엄마가 우리 딸을 키워주셨기에, 오빠는 자연스레 우리 딸을 키워주신 셈이 되었다. 내가 수없이 이런 저런 일로 병원에 입원할 때마다, 아플 때 마다, 무슨 교통사로라도 날 때마다, 성하지 않은 몸을 이끌고 기우뚱기우뚱 걸으시며 그 누구보다 가장 먼저 달려오셨던 오빠...... 내게는 은인인 오빠. 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고 책임져야하는 삶을 가르쳐주신 오빠. 병약하셨던 아버지 대신 내가 의지했던 오빠.

헌칠한 키에 넓은 이마, 오똑한 콧날, 멋스런 모습.
나이들어서 병원에 초췌한 모습으로 입원해 있을 때도, 요양병원에서도,  모두들 잘 생기셨다고 하던 오빠.
담배를 좋아하셔서 늘 손에서 구수한 옥수수 냄새가 났던 오빠.
머리가 유달리 뛰어나신 오빠.
옷을 멋스럽게 입었던 오빠.
미술재능도 뛰어나셔서 그림으로 중고시절 정부에서 보내줘 중국까지 다녀오신 오빠.
하지만 자신이 하고 싶던 철학공부를 못하고, 예술공부도 못하고 맏이라서 실용적인 공부를 하셨어야 했던 오빠.
(결국 서울대 문리대 철학과를 학사편입으로 나오시긴 했지만)
7남매를 다 보살펴주신 오빠. 책임감이 그 누구보다 뛰어나고 성실하셨던 오빠. (그래서 얼마나 버거운 삶이었을지... 그래서 그런 조건 때문에 원하는 결혼도 할 수 없었던 오빠)
형편이 어려운 친구들, 주변에 힘든 사람들을 늘 가족처럼 초대해서 함께 지내고 도와주던 오빠.
늘 아랫사람들을 인격적으로 대했던 오빠.
그렇게 통증에 시달리면서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던 오빠.
꽃과 나무를 좋아하셨던 오빠.

이제는 우리 곁에 없다.
내 곁에 없다.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
이리 허망히 가실 줄 알았으면 좀 더 자주 찾아뵐 걸.....

육신의 고통이, 통증이 이리 절대 고독인 걸 내가 그때는 왜 미처 몰랐을까?
왜 우리는 늘 나 살기 바쁘다고 내 사랑하는 사람들이 영원히 곁에 있을 것처럼 착각을 선택하는 이기적인 삶을 사는 것일까?

오빠 사랑해요. 감사해요.
그리고... 너무 미안해요...
아픔 없는 그곳에서 평안하시길 기도합니다.

너무 보고 싶어요.....

----

우리가 살면서 해야하는 세가지
그건 죽기 마련인 모든 것을 사랑하기,
당신의 삶이 거기에 기대고 있음을 깨닫고
그들을 가슴 깊이 끌어안기,
그리고 놓아보내야 할 때가 되었을 때
놓아 보내기.
(M. 올리버)

(c)2008E.Kim

from my lovely and precious daughter to mom


늘 보고싶지만 그렁그렁 맺힌 눈물처럼 유달리 그리운 날이 있다.
주섬주섬 딸아이가 11년 전 만들어 준 작은 책을 들여다 본다.


T. S. Eliot의 황무지(The Waste Land)를 그림으로 그려서 책으로 만들어  여름방학 때 가져왔었지.
이 세상에서 단 하나 뿐인 제일 멋지고 감동적이고 소중한 책.
모든 페이지가 다 예술이지만  몇페이지만 올려본다.

Thank you. You are so special!

<[photo by bhlee>

 

  

여릿여릿 봄이 오는데

설렘으로 피어나는 눈부신 생명 곁에서 나는

조용히 사라져가는 것들에게 눈길이 간다. 

곧 스러질 것, 잊혀질 것들의 아름다움에,  

추억이 더 많은 고독에

뒤돌아보며 돌아보며

자꾸 마음이 따라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