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시간 - 윤동주



거 나를 부르는 것이 누구요,

가랑잎 이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
나 아직 여기 호흡이 남아 있소.

한번도 손 들어 보지 못한 나를
손 들어 표할 하늘도 없는 나를

어디에 내 한 몸 둘 하늘이 있어
나를 부르는 것이오.

일을 마치고 내 죽는 날 아침에는
서럽지도 않은 가랑잎이 떨어질 텐데......

나를 부르지 마오.

봄길 - 정호승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되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봄길이 되어

끝없이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강물은 흐르다가 멈추고

새들은 날아가 돌아오지 않고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꽃잎은 흩어져도

 

보라

사랑이 끝난 곳에서도

사랑으로 남아 있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사랑이 되어

한없이 봄길을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교화고성에서 - 홍사성]

 

 

집은 땅 위에만 짓는 줄 알았다

 

성은 반드시 돌로 쌓는 것인 줄 알았다

 

40도가 넘어면 사람이 못 사는 줄 알았다

 

지상에는 종교가 하나밖에 없는 줄 알았다

 

사랑은 잘생긴 사람들만 하는 줄 알았다

 

못난 인생은 인생도 아닌 줄 알았다

 

무너지면 역사가 아닌 줄 알았다

 

정말 다 그런 줄 알았다.

[겨울 가로수  - 민]


잎새 떨군 내 알몸 옆에
네거리의 신호등
꽃집 유리창 너머 마른 장미다발
커피 전문점 따뜻한 불빛도 여전한데
정직했던 그대 표정과 옆모습은
어쩐지 서먹하고 낯설어 갑니다.

내 모든 것이 그대에게 속해 있듯
그대 많은 부분 내게 속해 있으리라
믿고 있지만
그대 고개 젓는다면 그뿐

가까이 가기 위해
이제 더 벗을 것도 없지만

아직 굳건한 얼음 흙덩이 밑으로
가늘고 여린 뿌리들이
그대 찾아 소리없이 뻗어가고 있음입니다.


[입이 귀까지 찢어진 채 -최승호]

입이 귀까지 찢어진 채 으하하하 크게 웃으니까
입이 귀까지 찢어진 채 으하하하 크게 웃으니까
당신은 길게 찢어진 입 너머 허공의 빛깔을 보아 두세요
입이 귀까지 찢어진 채 으하하하 크게 웃으니까
입이 귀까지 찢어진 채 으하하하 크게 웃으니까
당신은 길게 찢어진 입 너머 허공의 침묵을 들어 두세요

 

나도 새가 되고 싶다

내가 날려보낸 새가 되고 싶다

                               (bhlee "입술" 중에서)  MP

by bhlee


   

못- 김재진

당신이 내 안에 못 하나 박고 간 뒤
오랫동안 그 못 뺄 수 없었습니다.

덧나는 상처가 두려워서가 아니라
아무것도 당신이 남겨놓지 않았기에
말없는 못하나도 소중해서 입니다.

[바람의 말 - 마종기] 

 

우리가 모두 떠난 뒤
내 영혼이 당신 옆을 스치면
설마라도 봄 나뭇가지 흔드는
바람이라고 생각지는 마.

나 오늘 그대 알았던
땅 그림자 한 모서리에
꽃 나무 하나 심어 놓으려니
그 나무 자라서 꽃 피우면
우리가 알아서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릴 거야.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린다.
참을 수 없게 아득하고 헛된 일이지만
어쩌면 세상 모든 일을
지척의 자로만 재고 살 건가.
가끔 바람 부는 쪽으로 귀 기울이면
착한 당신, 피곤해져도 잊지 마,
아득하게 멀리서 오는 바람의 말을

청춘 - 심보선 

 

거울 속 제 얼굴에 위악의 침을 뱉고서 크게 웃었을 때 자랑처럼 산발을 하고 그녀를 앞질러 뛰어갔을 때 분노에 북받쳐 아버지 멱살을 잡았다가 공포에 떨며 바로 놓았을 때 강 건너 모르는 사람들 뚫어지게 노려보며 숱한 결심들을 남발했을 때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는 것을 즐겨 제발 욕해달라고 친구에게 빌었 때 가장 자신 있는 정신의 일부를 떼어내어 완벽한 몸을 빚으려 했을 때 매일 밤 치욕을 우유처럼 벌컥벌컥 들이켜고 잠들면 꿈의 키가 쑥쑥 자랐을 때 그림자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가로등과 가로등 사이에서 그 그림자들 거느리고 일생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았을 때 사랑한다는 것과 완전히 무너진다는 것이 같은 말이었을 때 솔직히 말하지면 아프지 않고 멀쩡한 생을 남몰래 흠모했을 때 그러니까 말하자면 너무너무 살고 싶어서 그냥 콱 죽어버리고 싶었을 때 그때 꽃피는 푸르른 봄이라는 일생에 단 한번뿐이라는 청춘이라는

인터넷은 정말 놀랍다. 자료를 검색하다가 깜짝놀랐다.
1980년 동아일보 한 칼럼에 연재되었던 나의 글을 발견했다.

참 아름답고 순수했던 시절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그때도 지금도 변함없는 그 무엇이 보인다....

그래서 씁슬히 웃는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101600209204012&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10-16&officeId=00020&pageNo=4&printNo=18164&publishType=00020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view.nhn?editNo=2&printCount=&publishDate=1980-10-11&officeId=00020&pageNo=5&printNo=18160&publishType=00020&articleId=&serviceStartYear=1920&serviceEndYear=1999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0101400209204004&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80-10-14&officeId=00020&pageNo=4&printNo=18162&publishType=00020

 

아마 이 때쯤 문예진흥원(지금의 문예교육진흥원)주최 주부백일장이 있었던 기억이 난다.

사실 이 당시 주부백일장은 시와 산문이 한 해 씩 번갈아가면서 장원을 주기로 했다. 내가 산문부 일등(그때는 산문부 장원이라고 말했었다)을 하는 해에 시가 전체 장원을 하는 해라서 좀 속이 상했던 기억이 난다.
물론 얼떨떨하기는 했다. 남들처럼 벼르다가 나간게 아니라 아침에 출근해서 신문을 보고 문득 한 번 나가볼까 하는 생각에 예정에도 없이 점심시간에 부랴부랴 대학로에 가서 참여했었기 때문이다.  잔디밭에 앉아서 주어진 시간에 즉흥적으로 글을 썼던 기억이 난다. 제목은 거울.... 

그때 김수현작가가 AAA인가 A+++인가를 주었던 기억이 난다.

 

난 글쓰기를 배우고 계속 했어야 한다.

국민학교(초등학교)때 글짓기 대회에서 시장상, 도지사 상을 휩쓸던 어린시절. 

작가가 되겠다고 늘 생각했던 꿈을 더이상 쫓지 못했던 건 살고 싶은 의욕이 없는 고달픈 청소년을 보냈기 때문이다. 

당시 나는 내가 뭘하고 싶은지 더 이상 묻지 않았다. 물을 만큼 내 자신의 꿈이 중요하지 않았다.

 

예전의 나와 정말 참 많이도 달라진 나를 본다.

세상을 보는 눈도, 사람을 보는 눈도,... 그리고 그 무엇보다 나를 보는 눈도.....

 

그래도 짝사랑하던 애인에게 버림받은 듯 나는 작가가 되고 싶었던 꿈을 생각하면 가슴이 더없이 쓸쓸하긴 하다.

2011.9. 24.